19세기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 1848~1923)는 개미를 관찰하다가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20%의 개미들은 열심히 일하는데 나머지 80%는 빈둥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흥미가 발동한 파레토는 열심히 일하는 20%의 개미들만 따로 모아서 관찰하였다. 모든 개미들이 열심히 일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는데 이곳에서도 80%는 일을 하지 않고 놀기 시작하였다. 열심히 일하는 개미를 세어보니 약 20% 정도였다.
파레토는 이 중에서 또다시 열심히 일하는 20%를 추출해서 따로 모아 놓았지만, 역시 80%는 놀고 20%만 열심히 일하기 시작했다. 파레토는 20:80% 현상이 유독 개미만의 특성인가 싶어서 이번에는 벌통을 관찰하였다. 그런데 놀랍게도 벌 역시 20:80% 현상이 나타났다.
파레토는 이를 신기하게 생각하여 인간사회에도 이 현상이 적용되는지 알고 싶어졌다. 그는 유럽 인구와 부의 분포현상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즉 전체 부의 80%는 상위 20%의 사람이 소유하고 있었고 전체 인구 중 20%의 인구가 전체 노동의 80% 노동을 하고 있다는 결론이었다. 그래서 유명한 20:80%의 법칙 즉 파레토 법칙이 탄생되었다.
우리 주변에서 발견되는 20:80%의 법칙 즉 파레토 법칙이 적용되는 예는 매우 많다. 백화점 매출의 80%는 상위 20%의 고객이 소비하는 매출액이다. 기업의 80% 이익은 20%의 핵심 제품에서 나오는 이익이다. 즐겨 입는 옷의 80%는 옷장에 걸린 옷의 20%에 불과하다. 전체 교통위반의 80%는 20%의 불량운전자에 의해 발생된다. 모든 범죄의 80%는 20%의 범죄자에 의해 일어난다.
조직의 80% 일은 그 조직의 20% 조직원들이 수행하고 있다. 성과의 80%는 근무시간 중 가장 집중한 20% 시간에 나오는 것이다. 통화시간의 80%는 자신이 잘 아는 20% 사람과의 통화시간이다. 인터넷 카페나 밴드, 카카오 단톡방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해 여론을 주도하는 이들은 20% 정도이고 이들이 80%의 여론을 주도해 나간다. 직장이나 동호회에서도 핵심 20% 인물들이 나머지 80%를 주도한다.
지금까지 이 파레토 법칙은 매우 유용한 법칙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이와 반대되는 법칙이 등장하였다. 바로 롱테일 법칙이라는 것이다.
아마존은 상상을 초월하는 큰 창고를 가지고 엄청나게 많은 상품을 쌓아두고 있는데 하위 80%의 매출이 상위 20%의 매출을 앞지르는 이상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엄청나게 긴 꼬리의 인기 없는 상품 매출이 인기상품인 머리의 매출을 앞지르는 현상이 생긴 것이다.
이런 현상은 음원시장에서도 나타난다. 이제는 CD를 판매하지 않고 음원을 판매하는 경제사회이기 때문에 수억개의 음원을 준비해놓은 음원회사는 이미 인기 있는 음악보다 그렇지 않은 음악의 음원들의 매출액이 훨씬 더 높아지는 현상이 생긴 것이다. 과거에는 티끌 모아봤자 티끌덩어리였지만 이제는 티끌 모아 태산도 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파레토 법칙의 상대개념인 이 법칙을 긴꼬리 법칙(롱테일 법칙)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며 전통적으로 신뢰받던 파레토 법칙은 이제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된 것이다. 전통적인 마케팅에서는 물리적 유통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히트상품을 선반의 가장 좋은 자리에 진열하게 되고 틈새상품은 전시공간에서 밀려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인터넷 시대에는 상품을 전시하는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소비자가 필요한 상품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되면서 오랫 동안 소홀히 취급되었던 틈새상품의 장기간 누적 매출액은 기업 매출증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이제는 시대가 달라졌다. 인터넷 시대에는 숨어 있던 소수들도 얼마든지 자신을 드러낼 수가 있고 중요한 인물이 될 수 있다. 유튜브 영상을 보면 이젠 누구나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기회가 평등하게 주어져 있음을 알 것이다. 핵심소수, 엘리트계층, 20% 이내의 부유층이 아니라고 좌절하거나 기 죽어서 지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나는 사소한 다수에 속하고 평범한 사회계층이며 부유하지 못한 사람이고 선택되지 못한 사람이라고 속상해하거나 부모를 원망할 일이 아니다. 나라는 사람도 당당히 이 사회에 중요한 구성원이고 나 같은 사소한 다수가 이 사회를 이끌어 간다는 긍지가 필요하다.
경제학 용어에서 가져왔지만 롱테일 법칙이 지금 인터넷 시대에는 통하는 현상이 된 것이다.직장이나 동호회, 인터넷 카페, 밴드, 카톡방 등등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존재라고 자존감이 떨어지고 비관할 필요가 없다. 나 같은 사소한 다수가 없으면 핵심소수도 소용이 없다는 긍지를 가져도 좋다. 그냥 웃으며 핵심소수의 노력에 박수를 쳐주기만 하면 된다.
웃음은 바로 자존감이기 때문에 웃는 사람은 상처를 받지 않는다. 파레토 법칙이 그간 세상을 보는 눈이었지만 이제는 롱테일 법칙으로 세상을 보는 눈도 필요하다.
하하웃음행복센터 원장, 의정부제일간호학원 원장, 웃음치료 전문가(1급), <웃음에 희망을 걸다>, <웃음희망 행복나눔>, <15초 웃음의 기적>, <웃음은 인생을 춤추게 한다>, <일단 웃자>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