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그동안 대기업 공산품 판매 등 엉터리 운영으로 이상 신호가 발생했던 양주 로컬푸드가 2호점을 준비하면서도 물의를 빚다가 끝내 문을 닫았다.
로컬양주 농업회사법인은 지난 2016년 9월 양주시 만송동에 1호점을 개장한 뒤 시로부터 해마다 1억여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아왔다.
2020년 2월에는 양주시 회암동에 2호점을 개장했다. 그런데 경기도로부터 운영단체로 선정되기 닷새 전인 2019년 6월7일 자본금 100만원에 불과한 양주팜로컬푸드 농업회사법인을 급조했다. 이 법인의 감사는 1호점 운영단체인 로컬양주 농업회사법인의 대표이사로 드러났다. 2호점 개장은 1호점 감사가 추진단장을 맡았다.
시작부터 논란을 일으킨 양주 로컬푸드 2호점은 양주시비 2억300만원과 경기도비 8천700만원을 지원받았다. 그러나 매장 공사비를 공사업체 등에 지불하지 않아 문제가 커졌고, 양주시는 보조금이 목적대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해 2020년 10월 1억3천만원에 대한 보조금 교부결정 취소처분을 내렸다.
하지만 양주 로컬푸드는 이를 반납하지 않은 채 문을 닫았다. 1호점은 지난 2월26일경, 2호점은 3월20일경 운영을 중단했다.
이에 앞서 양주시는 양주 로컬푸드가 지방재정법을 위반했다며 양주경찰서에 고발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특히 농민들은 농산물을 납품한 뒤 돈 1억여원 이상을 받지 못한 채 발을 구르고 있다. 주주들도 투자금 2억원 이상을 날릴 판이다.
한 농민은 4월9일 “홍성표 의원 등 양주시의회가 로컬푸드 지원조례를 만들어 이를 믿고 참여한 것인데 억울하다”며 “관리감독을 제대로 하지 않은 양주시 책임도 크다”고 따졌다.
‘양주시 로컬푸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는 1호점 개장에 앞선 2015년 12월11일 홍 의원의 대표 발의로 제정된 바 있다.
한편, 농민들은 4월9일 회의를 갖고 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한 뒤 양주 로컬푸드 관계자들을 고소할 예정이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