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이라는 이름을 갖고 일하는 사람들이 있다. 비정규직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정규직이 ‘아니’라는 것이다. 근무기간을 한시적으로 정해서 일하는 것으로 1997년 IMF 구제금융을 받으면서 김대중 정부에서 노동유연화 명목으로 만들어졌다. 근로자 파견 관련법이 시행되면서 일자리 소개소가 상당히 생겨나게 되었고 정리해고가 가능해지게 된 것도 같은 시기이다.
그동안 기업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경제구조에서 업무형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경직되어 있는 노동구조를 유연하게 바꿀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비정규직 관련법이 시행된지 25년이 지난 지금 비정규직은 대부분 상시근로가 필요한 경비업, 청소업, 학교 급식실, 방과후 교사, 요양시설 종사자, 대형마트, 하청업체 종사자 등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계약직으로 일하는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지 않기 위해 사업주의 부당한 지시나 차별도 감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직장에서의 해고가 곧 굶주림과 죽음으로 이어지는 곳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사업주를 상대로 합법적 요구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비정규직은 고용불안과 경제적 차별을 넘어 인간적 권리의 박탈과 사회적 차별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비정규직이 없어져야 하는 이유다.
올해는 추석 명절이 빠르다. 물가도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이런 연휴에도 쉬지 못하고 적은 임금을 받으며 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많이 있다. 명절 때 쉬지 못하고 일하는 노동자들을 만나면 고맙다는, 고생하신다는 인사 한 마디 전했으면 한다.
경기북부비정규직지원센터 센터장(매주 월요일 상담/031-928-4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