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동두천시의회 최금숙 의원은 9월27일 열린 제306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기북도 신설을 강하게 촉구했다.
최 의원은 “올해 6월 기준 경기도 인구는 1,350만명으로 나라 인구의 4분의 1이 넘는다”며 “이것만 보더라도 경기도를 남북으로 나눌 때가 이미 지나도 한참 지났다는 것은 상식”이라고 밝혔다.
이어 “동두천을 비롯한 경기북부는 346만명으로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경기남부와 서울에 이어 세 번째로 인구가 많다. 부산보다 많다. 행정구역 구획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인 인구수만 놓고 보더라도 이미 경기북부는 그 자체가 하나의 광역자치단체가 되어야 마땅하다. 이제는 당연히, 마땅히, 필연적으로 경기북도를 분리·신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은 진정한 민주주의와 지방자치제도의 완성을 위한 필수요건”이라며 “경기북부와 남부는 고유한 지역적 여건과 특성이 전혀 다르다. 주민 숙원과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에서도 분명한 차이가 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가장 큰 문제는 경제적 불균형이다. 경기남부가 고도 경제성장을 이루는 동안 동두천을 중심으로 경기북부는 국토방위의 첨병으로 희생해 왔다. 경기남부의 번영은 경기북부에 큰 빚을 지고 있는 것인데, 그에 대한 보상은커녕 낙후와 소외라는 그늘 아래 고통받았던 경기북부는 설상가상으로 경기도에 묶여 있다는 이유로 각종 중첩규제의 역차별까지 겪어야 했다. 지역총생산, 재정자립도, 사업체수, 산업단지 공실률, 실업률. 100이면 100, 모든 경제 지표에서 그 격차는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최 의원은 “지방자치의 근간이자 성공 조건은 바로 주민의 공동체 의식과 소속감인데, 지역적 고유 특성 차이와 그로 인한 발전격차의 심화는 이미 경기북부와 경기남부가 하나라는 일체감을 상실케 하였다”며 “경기북부에 대한 각종 규제를 철폐하고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여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경기북도라는 독자적이고 새로운 자치시스템 구축이 최우선 선결과제”라고 주장했다.
계속해서 “장차 다가올 남북통일시대에 통일한국의 중심이자 남북교류의 관문이 될 경기북부의 독자적 가치를 살려 국가발전을 설계하는 것은 대한민국 미래를 밝힐 백년대계의 시작”이라며 “내년 대선을 앞둔 지금, 일부 유력 대선주자들도 공식적으로 경기북도 신설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 기회를 놓치면 안된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이에 최용덕 시장께 촉구한다”며 “경기북도 신설은 정파적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동두천 발전을 위해 반드시 달성해야만 할 목표다. 동두천이 경기북도 설치에 주도권을 쥐고 나가야 한다. 시장께서 경기북도 신설에 대한 찬성 입장을 시민들에게 분명히 밝히고, 경기북부 자치단체들의 협력체계 구축에 앞장서라. 경기북도 신설을 염원하는 시민들의 뜻을 하나로 모으는 서명운동도 추진하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