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진보당 의정부시위원회(위원장 박정민)는 11월8일 경기북부비정규직지원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정부시는 공공하수종말처리장 민영화를 중단하라”고 밝혔다.
진보당은 “공공하수종말처리장은 시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공공재로, 시민들은 ‘수도세’라 일컬어지는 상하수도요금을 성실히 납부하고 있다”며 “2019년 민간사업자 제안으로 하수처리장 민영화 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민영화에 따른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해 반대 여론이 커져가고 있다”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민영화에 대한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첫째, 민간업체가 실시한 환경영향평가서에는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수치가 잘못됐다. 보고서에는 3.0(mg/L)을 초과하여 3.79(mg/L)로 되어있으나 실제 의정부시가 매월 공개하고 있는 수질검사결과에는 최근 9월에도 평균 2.2(mg/L) 정도로 나타났다. 수질개선사업이 목적이라는 근거가 상실됐다.
둘째, 의정부시는 악취 대책으로 이미 160억원의 개선비용을 투자하여 돔 형식으로 악취 구간을 막아놓았다.
셋째, 수질개선사업 목적의 고도화처리시설에 대한 정부지원금을 신청할 경우 600억원까지 받을 수 있음에도 의정부시는 사업비 신청도 하지 않고 사업비 부족을 내세워 민자사업만을 주장하고 있다.
넷째, 의정부시는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쳤다고 하나 설명회에는 10명도 참여하지 않았다. 시민 대부분은 초대형 사업에 대해 알지 못한다. 시민들과 충분한 소통이 필요하다.
다섯째, 30년은 시민들에게는 짧은 시간이 아니며 2,500억원은 결코 적은 비용이 아니다. 이런 중대한 사안은 당연히 새롭게 구성되는 시 행정부가 추진하고 책임지는 것이 상식이다.
진보당은 “의정부시의 불통행정, 조급행정은 자일동소각장, 도봉운전면허시험장, 국제테니스장, 물류단지 조성계획, 6억원 발광화장실, 라과디아체육공원 철거 등 시민들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며 “시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끊임없이 소통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