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안데스 산맥의 명산 ‘시울라 그란데(siula Grande)’ 서벽을 오르는 두 젊은 친구가 있었다. 그들은 등반에 성공해 6300m의 봉우리를 찍고 내려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날씨는 그들의 편이 아니었다. 폭풍이 불어닥쳐 그들의 몸을 때리고 시야를 가렸다. 그 혼란 속에서 둘은 자일(등산용 끈)로 서로를 묶고 의지한 채 내려오고 있었다.
그러던 중 한 친구 조 심슨(Joe Simpson)이 오른쪽 다리가 부러지고 양손에 동상을 입는 부상을 당하였다. 폭풍은 거세게 몰아치고 시시각각 어두운 밤이 깊어가는데 둘 뿐인 그들의 앞날은 암울하기만 했다. 그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 어디로 내려가야 할지 몰랐다. 만약 다른 친구 사이먼 예이츠(Simon Yates)가 심슨을 업고 가려 한다면 결국 두 사람 다 죽게 될 판이었다.
그때 심슨이 절벽 틈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예이츠 역시 그와 함께 빨려 들어가기 시작했다. 예이츠가 급하게 눈구덩이를 만들어 피하려 하였지만 이마저도 오래갈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예이츠는 둘이 함께 묶여있다가는 둘 다 죽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고 고민 끝에 칼을 꺼내 들고 끈을 끊어버렸다. 예이츠는 낭떠러지 밑으로 사라졌다.
심슨은 울부짖으며 빠져나갈 궁리를 시작했다. “계속 하나하나 결정을 내려야만 했다. 그것이 비록 잘못된 결정이라도 말이다. 결정하지 않으면 그걸로 끝장이기 때문이었다.”
등산을 하다 최악의 상황에 봉착했는데 벗어날 방법을 알 수 없을 땐 아무 방향이나 골라서 그 길로 가야 한다. 가장 좋은 방향일 필요는 없다. 어쩌면 가장 좋은 방향이란 없을지도 모른다. 그 상황에서는 오리무중의 확실한 정보가 없을 것이 분명하다. 그러니 한 길을 선택해서 가다가 절벽 앞에 도달하면 거기서 방향을 돌려 딴 길을 선택하면 된다. 그 절박한 상황에서는 맞는 길을 확실히 안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아는 것이라고는 가만히 앉아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그걸로 망하고 만다는 사실 뿐이기 때문에 무엇이건 결정하고 행동해야 했던 것이다.
조 심슨은 결정을 내렸다. 줄은 여유가 있어 아래로 내려가는 방법 밖에 없었다. 조심스럽게 한참 내려가던 조는 운이 좋게도 절벽 틈에서 좁은 길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그는 다리가 부러지고 손에 동상을 입어 걸을 수가 없었다. 심슨은 3일 동안 먹지도 못하고 온몸을 땅에 엎드려 기고 또 기었다. 3일 밤낮을 기어서 드디어 베이스 캠프에 도착한 후 병원으로 옮겨질 수 있었다. 얼마나 고통스러운 3일을 보냈는지 구조 당시 그는 19㎏이나 빠져있었다.
구조된 후 심슨은 예이츠를 원망하지 않았다. 예이츠 역시 손에 동상을 입은 상태였기 때문에 끈을 자르지 않았다면 둘 다 죽은 목숨이었을 것이다. 두 친구의 이야기는 1988년 <친구의 자일을 끊어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간됐으며, 2003년에는 ‘터칭 더 보이드(Touching the Void)’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로도 국내에서 개봉된 바 있다.
뇌과학자들은 우리의 행복을 가로막는 중요 인자 중 하나가 우유부단이라고 한다. 우유부단은 너무 많은 것을 너무 많이 걱정하는 데서 생겨난다. 단순하게 한 가지 일에 한 가지 걱정만 한다면 단호하게 결정 내리는 일이 쉬워진다. 그러나 우리 뇌는 너무 복잡하고 미묘하다. 우리의 목표, 습관, 공포, 욕망 등 뇌 속의 끊임없이 연결된 시냅스들 사이엔 여러 가지 복잡한 생각들로 의사소통이 교착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럴 때 우리는 어떤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모든 일 앞에서 꼼짝 못하고 굳어버린다.
이 때가 바로 우유부단함이 우리의 행복을 막는 경우다. 이런 상황은 기분, 사고, 행동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우유부단함은 더욱 악화된다. 그래서 우유부단함 때문에 불행 속으로 빠지게 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이다. 작은 것이지만 결정을 내리고 행동으로 옮기는 습관을 기를 때 이런 불행으로부터 헤어 나올 수 있게 될 것이다.
우울증에 걸린 사람도 마찬가지다. 어떤 결정을 내리든 모두가 다 잘못될 것이라는 느낌 때문에 우유부단하고 결정을 쉽게 내릴 수 없게 된다. 이런 것이 우울증 상태를 지속시키는 증상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런 때 주저하지 않고 대범하고 단호하게 결정을 내리는 힘만 있다면 우울증에서 벗어나기 쉬울 것이다.
우리 뇌는 우울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회로와 벗어나도록 도와주는 회로가 있는데, 우울증의 문제점은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회로를 아주 많이 사용하고 회복하도록 하는 회로는 덜 사용하는 데 있는 것이다. 그래서 무엇이든 결정 내리기는 우울증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우울증을 벗어나는 상승곡선에 시동을 거는 아주 좋은 방법이다.
우리 속담에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말도 있고 ‘바른 방향으로 일단 한 걸음만 내디뎌라’는 격언도 있다. 머릿속에서 결정을 내렸다면 바로 한 발 실행에 옮겨야 한다. 행동하지 않는 결심은 뇌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결심하고 행동하면 우리 뇌의 전전두피질은 뇌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총동원하여 효율적으로 상호 운용해 목표를 이루는 방향으로 우리 행동을 조절해 나간다.
등산에서 조난당했을 때 결정하고 행동하기가 생명을 구하는 길이 되었고, 우울증에서 탈출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 결정하고 행동하기다.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서도 우유부단하지 않고 결정하고 행동하기를 해야 한다. 결정하고 행동하기! 가장 쉬운 방법은 웃기로 결정하고 웃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우울증에서 벗어나 목표를 이루고 행복해지는 간단한 비결이다.
하하웃음행복센터 원장, 의정부제일간호학원 원장, 웃음치료 전문가(1급), <웃음에 희망을 걸다>, <웃음희망 행복나눔>, <15초 웃음의 기적>, <웃음은 인생을 춤추게 한다>, <일단 웃자>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