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경기북부노동인권센터는 지난 11월14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경기도 북동권역 노동안전지킴이의 ‘산재예방 특별점검’ 활동을 시행했다. 이번 특별점검은 제조 및 공사현장의 잇단 산재사고 사망자 발생으로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노동자와 도민의 안전을 지키고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추진됐다.
특별점검은 제조현장을 중점 점검하되 4대 재해 원인(추락, 끼임, 충돌, 화재·폭발)에 집중하여 지도·점검을 실시했다. 추락, 끼임 등 안전수칙 준수로 예방 가능한 재래형 사고는 경기도 전체에서 73.8%에 해당한다. 이 같은 점검 활동 외에도 현장관리자와 작업자 대상 안전관리 교육 등을 하고, 안전조치 미흡 현장은 컨설팅 지도로 자율 개선을 유도했다.
특별점검은 일방향적 점검 방식에서 벗어나 사업주의 동참과 자율적 개선을 유도하는 현장 ‘맞춤식 컨설팅’ 중심으로 실질적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고, 주기적 현장 지도 방문에도 우호적인 반응이었다.
이번 북동권역 특별점검은 주민 피해 확산 우려가 큰 사업장 70개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보호구 착용, 폭발, 화재위험 예방조치, 관리대상 유해물질 관리, 안전담당자 지정 여부 등을 점검했다.
특별점검에 참여한 사업장은 ▲가평군 2곳 ▲구리시 5곳 ▲남양주시 14곳 ▲동두천시 2곳 ▲양주시 21곳 ▲연천군 2곳 ▲의정부시 5곳 ▲포천시 21곳이었다.
4대 재해 원인에 대한 집중 지도점검을 벌인 결과 총 127건의 위험요인을 확인했고, 이중 121건에 대해 시정을 요청했다. 위험요인 중 충돌이 46건(36%), 화재·폭발이 43건(34%)으로 전체의 70%를 차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제조업 특별점검에 참여한 한 노동안전지킴이는 “일어나지 않아도 될 산업재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여 안전한 노동환경을 만드는 데 사명감을 갖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 사업장 스스로 책임지고 안전관리에 힘쓸 수 있는 체계의 정립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