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주민들이 축사 인허가에 반발하며 내건 현수막 뒤로 공사가 한창이다. |
“우리는 개구리보다 못합니까? 천성산 도룡뇽 때문에 국책사업인 고속철도도 지연됐는데, 사람이 사는 코앞에 축사를 짓겠다는 행위를 인허가 해준 양주시는 누구를 위한 곳입니까?”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 노화산 중턱에 무려 7천260㎡ 규모의 축사가 들어서자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양주시는 지난 1월22일 박모(53)씨가 홍죽리 산80-3번지에 동식물 관련시설(축사)을 짓겠다며 건축신고를 하자 이를 받아들였다. 이곳은 백석읍 홍죽리 은봉산과 노화산 줄기를 따라 기산리와 장흥면을 잇는 구불구불한 2차선 국지도 39호선에 맞붙어 있는 곳이다. 계곡물은 백석천으로 흐른다.
 |
▲ 축사 공사현장에서 백석읍 전경이 내려다 보인다. |
양주시 허가에 따라 박씨는 2월26일부터 굴삭기 등을 동원해 나무를 자르고 축대를 쌓으며 부지조성을 하고 있는 중이다. 박씨는 축사 4개동에 한우를 키우며 체험학습장으로도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주민들은 “주변환경 등 여러 가지 상황을 따져보면 목장으로 사용할 수 없는 곳을 양주시가 허가해줬다”며 ‘편법적인 축사허가 양주시는 철회하라’ ‘청정지역 오염되는 오폐수는 어쩔거나’ ‘주먹구구 공사강행 위험해서 못살겠다’ ‘시끄러워 못살겠다 방호막 설치하라’ 등의 펼침막을 내걸고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식당과 모텔은 물론 일반 주민들까지 지하수를 쓰고 마시는데 산 위에 축사가 들어서면 생존권이 위협받을 수 있고, 악취 때문에 영업을 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특히 교통량이 많은 위험한 길에 아무 대책없이 허가를 내준 것은 양주시의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주장했다.
주민 이모씨 등은 지난 3월30일 임충빈 시장에게 진정서를 제출하고 “즉각 허가를 취소하여 공사를 중지시키고 우리들의 생존권과 행복추구권을 보장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양주시는 4월3일 민원회신을 통해 “건축주가 환경오염 대책으로 ▲친환경 사료를 사용하여 분뇨냄새 저감 ▲친환경 생균제를 사용하여 해충의 원천적 방지 ▲건축물 바닥을 콘크리트로 마감하고 톱밥을 깔아 지하로의 오염물질 침투방지 등의 계획서를 제출했다”며 “건축주에게 차폐조경 및 환경오염 대책을 철저히 이행하도록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민들은 “양주시가 직접 피해를 보는 주민들에게 전혀 동의를 구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박씨를 옹호하고 있다”며 “축사 허가가 취소될 때까지 끝까지 싸우겠다”고 분개했다.
이와 관련 건축주 박씨는 “공사 중에 소음이나 먼지는 발생하겠지만, 공사가 다 끝나면 환경오염은 절대 안될 것”이라며 “친환경적인 관리를 하면서 한우 품질을 높이는 등 관광농원화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씨는 이어 “허가사항에 주민동의 내용이 없어서 동의를 받지 않았다”며 “주민동의를 받으라고 한다면 대한민국에서 축사 허가 받을 곳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씨는 새마을운동 양주시지회 명예회장과 양주골 한우마을 회장을 맡고 있는 등 양주시의 유력인사 중 한명이다.
 |
▲ 안전시설 없는 공사현장. 돌덩이가 떨어져 조립식 주택 일부가 구겨졌다. 이곳엔 생후 14개월된 갓난아이가 살고 있다. |
 |
▲ 군부대 목진지도 훼손됐다. |
한편, 산허리에 축사 부지를 조성하면서 특별한 안전시설 없이 공사를 시작해 돌덩이가 산 밑 조립식 주택을 덮치는가 하면, 군부대 목진지가 훼손되는 등 행정당국의 관리감독이 느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연면적 400㎡ 이하의 축사는 신고대상으로 특별한 규제를 받지 않는다는 건축법을 이유로 7천260㎡ 부지에 1개당 396㎡ 크기의 축사 4개동을 신고해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주민들이 ‘편법’임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양주시 건축과는 “연면적의 개념은 건물 1개동 개념이지, 조성부지 또는 건물 면적 총 합계가 아니다”라고 맞서고 있다.
 |
▲ 공사 현장에서 내려다보이는 국지도 39호선. |
 |
▲ 공사 현장 출입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