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의정부시장애인종합복지관 정상화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는 3월9일 의정부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면 파업이 일주일을 넘긴 상황에서 파업 장기화로 시민 불편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만큼 의정부시는 복지관 운영 업무 대행을 비롯한 정상화 조치를 즉각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시민대책위는 “지난 4년간 이어진 노사 갈등으로 그동안 간헐적 파업이 있었지만, 무기한 전면 파업에 돌입한 지금 상황은 이전과는 비할 바 없이 심각하다”며 “복지관 이용자들은 불편을 넘어 불안감까지 호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민대책위는 “의정부 내 최대 규모의 복지시설로 연간 30억원에 달하는 시민 혈세가 투입돼 운영되고 있으며, 2004년 개관 이후 19년째 복지관 운영을 수탁하고 있는 한국지체장애인협회는 위·수탁협약서 상 법인전입금 명목으로 보조금의 1%도 안 되는 2,700만원만 내면 되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는 복지관 운영의 최종 책임이 의정부시에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나 복지관 측은 노사분규 발생을 막기 위한 노력은커녕 지난 1월 김동근 시장의 중재안을 거부해 사태를 키웠다. 또한 이용자들의 불편과 항의가 이어지자 ‘노조와 협의 중’이라는 거짓 정보를 전달하며 사태의 심각성을 축소하고 있다”고 했다.
시민대책위는 “의정부시는 하루속히 노사 갈등이 해결될 수 있도록 보다 실효성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장기간 파행적 운영을 지속하고 있는 책임을 수탁 법인에 묻고 계약 해지 등 특단의 조치까지 검토해 시민 혈세로 운영되는 복지시설의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노동조합을 인정하지 않기 위한 명분 쌓기, 투명한 회계를 가로막으려는 비정상적인 의도가 아닌지 의구심마저 든다”며 “상식적인 자세와 전향적인 노력으로 갈등 상황을 매듭짓고 시민을 위한 복지시설 운영에 매진할 것을 복지관에 요구한다”고 밝혔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