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 니체는 그의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인간정신 발달 단계를 3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다. 즉 인간의 정신은 낙타, 사자, 어린이로 3단계의 변화를 거쳐 높은 경지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낙타의 단계는 권위와 의무에 대한 복종의 정신세계, 사자의 단계는 권위에 도전하는 자유의지를 나타낸다. 어린아이의 단계는 순진무구하고 망각이 능한 창조적 정신을 일컫는다고 할 수 있다.
각 단계별로 정신세계의 변화를 살펴보면 이렇다. 먼저 낙타의 단계다. 낙타는 주로 사막에 살기 때문에 삶의 조건이 좋을 리가 없다. 초원도 나무도 거의 없고 오아시스도 만나기 힘들다. 사막에 사는 낙타를 통해 니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척박한 환경에서 힘겹게 등짐을 지고 묵묵히 걸어가는 우리 인생을 말하려는 것이다.
낙타는 무거운 짐 때문에 불평을 하지 않고 그냥 묵묵히 걸어간다. 공경하고 두려운 마음을 지닌 억센 정신, 무거운 짐을 지는 정신, 순종하는 정신을 가지고 있고 무거운 짐을 감내하며 복종하는 것이 바로 낙타다. 오로지 주인의 명령에 복종해 무거운 짐을 지고 사막을 횡단하다가 죽어가는 낙타의 삶과 같은 것이다.
만약 우리가 무거운 짐을 지고 사막을 건너는 늙은 낙타라면 어떤 느낌이 들겠는가? 생각만 해도 정말 억울하고 힘들어 지쳐 쓰러질 것이다. 그러다 정말로 지쳐서 쓰러지면 그 짐은 젊은 낙타에게 옮겨질 것이고 일어나지 못하는 낙타는 그냥 버려둔 채 대상 행렬은 사막 횡단의 여행을 계속할 것이다. 현재를 사는 많은 사람들이 이와 같은 인생을 살아간다. 회사에 다니는 회사원, 공무원, 많은 직장인들이 이런 인생을 살고 있는 것이다.
하루하루 생활의 연명을 위해 낙타처럼 견디며 간신히 살아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가 어느 날 더 이상 일할 수 없는 순간이 오고야 말 것이다. 이러한 낙타의 정신세계에서는 주인의 명령에 저항하지 못하고 묵묵히 순종한다. 오만 대신 굴종을, 자유 대신 구속을, 지혜 대신 어리석음을, 승리 대신 패배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무거운 짐을 지는 것은 복종을 의미하며 노예정신을 의미한다. 지금 나는 나의 의지와는 관계없는 강요된 무거운 짐을 지고 걸어가는 인생이 아닌가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지금 지고 있는 가장 무거운 것들은 무엇인가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래서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사자로 변신해야 한다. 사자처럼 사는 것은 스스로 주도적이고 고용주가 되어 자유인으로 사는 것을 말한다. 사자는 자신이 원할 때 사냥하고 먹는다. 그리고 초원에서 며칠씩 휴식하며 논다. 초원에서 사자에게 간섭할 다른 동물은 없다. 사자는 자신이 스스로의 주인이다. 그래서 그들은 자유롭다.
니체는 이러한 자유와 위대한 해방의 역사에는 아픔과 고통이 따른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잘못되면 파멸의 길로 이를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스스로 정의하고 스스로 가치를 정립하려는 자유의지를 위한 삶이 바로 사자의 단계라고 말할 수 있다. 자신을 구속하고 있는 제도와 관습과 규범과 도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면 자유의지를 가질 줄 알아야 하고 필요에 따라 과감히 ‘NO’라고 거역할 수 있어야 한다.
사자는 자유정신을 상징한다. 기존의 가치, 관습, 규범, 관계를 거부할 수 있는 부정의 힘이 있어야 한다. 부정을 위한 부정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위한 부정의 힘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나타내는 것이 바로 사자의 삶인 것이다.
나는 남의 인생이 아닌 나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가? 모든 것을 스스로 결정하고 자신이 책임지며 자신이 기울인 노력의 대가를 모두 취하고 사는가? 이는 모두 자발성에서 출발한다. 자발성이란 누군가 시켜서가 아니라 스스로 결정해 자신의 힘으로 하는 행동을 말한다. 이 자발성이 사라진 상태를 무기력이라고 한다. 우리가 무기력에서 헤어나오려면 자발성을 회복하여야 한다. 우리는 누구나 사자처럼 자신이 주인이 되는 인생을 되찾고 그런 삶을 계속 살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런 삶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낙타처럼 사는 사람이 하루아침에 사자처럼 사는 삶으로 변화될 수는 없다. 그러나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부정이 사회를 변화시키고 자기 자신을 변화시키며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긍정의 전제조건은 부정이다. 자신의 나쁜 면, 약점을 고치려는 자유의지를 가질 때 우리는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지금 나는 낙타의 단계에 있는가? 아니면 사자의 단계에 있는가?
그러나 니체는 낙타나 사자의 단계를 넘어선 새로운 정신세계 단계로 어린아이의 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즉 자신만의 세계에서 벗어나 어린아이처럼 천진함, 솔직함, 망각, 창조의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니체는 “어린아이는 순진무구요 망각이며 새로운 시작, 놀이, 스스로의 힘에 의해 돌아가는 바퀴이며 최초의 운동이자 거룩한 긍정이다”라고 말한다.
아이는 수천 번의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는다. 수없이 옹알이를 하다가 말을 배우고 넘어지기를 수천 번 하다가 걸음마를 배운다. 천진하고 호기심이 강해 어떤 상황에서든 창조하고 변화를 추구한다. 그리고 계산 없이 웃고 또 울고 사랑을 주고받는다.
천진난만함이 아이의 특징이라 할 때 정신의 가장 자유로운 단계는 천진난만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어린아이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아무런 한계도 억압도 사상도 없이 어떤 일이든 새롭게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아이는 사자도 하지 못하는 일을 할 수 있다. 삶을 놀이로 받아들이고 무거운 짐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정신세계. 그래서 아이는 신성한 긍정이다. 아이는 어른과 달리 특별한 존재가 되고 싶어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존재하는 나를 받아들인다.
니체는 본래의 나 자신이 되고자 한다면 낙타의 단계, 사자의 단계, 어린아이의 단계의 세 가지 변신을 해야 한다고 한다. 어린아이의 천진난만한 웃음 속에 우리 인생과 정신세계의 궁극적 목표와 답이 있는 것이다. 오늘도 어린아이처럼 순진무구한 웃음을 웃는 하루 되세요.
하하웃음행복센터 원장, 의정부제일간호학원 원장, 웃음치료 전문가(1급), <웃음에 희망을 걸다>, <웃음희망 행복나눔>, <15초 웃음의 기적>, <웃음은 인생을 춤추게 한다>, <일단 웃자>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