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급식소, 음식점, 대중업소 등을 점검하여 식중독을 예방하고 식품안전을 지키는 곳인 동두천시 위생계가 고작 3명의 직원으로 무려 2천300여개 업소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예방은커녕 식중독 발생시 대응력도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동두천시는 4월 현재 일반음식점 1천175개, 유흥음식점 162개, 단란주점 23개, 집단급식소 78개 등 식품위생업소 1천881개와 숙박업 70개, 이용업 55개 등 공중위생업소 435개 등 총 2천316개 업소를 계장을 포함한 직원 3명이 관리하고 있다.
경기도 자료에 따르면 31개 시·군 위생부서 공무원은 수원 46명, 성남 27명, 부천 25명, 평택 24명, 안성 5명, 과천 3명 등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위생계 직원은 1천개 업소 당 평균 1명이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식중독 예방과 위생점검이 형식적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양주시의 경우 위생계 3명이 3천500여개 업소, 연천군은 2명이 1천500여개 업소, 의정부시는 5명이 8천600여개 업소를 관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한 위생계 직원은 “2인1조가 되어 위생점검을 나가야 하는데 시청에서 일반 인·허가 업무 처리하기도 바쁜 실정이라 형식적 점검일 수밖에 없다”며 “그런데도 집단식중독이라도 발생하면 위생계 잘못으로 모든 책임을 져야 하는 현실”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동두천시 위생계 관계자는 “신고 사항을 처리하기에도 업무량이 많으며, 식중독 발생 시기인 여름철에는 집단급식소와 횟집 등의 점검을 시작해야 하는데 인·허가 업무 등 현실적으로 직원이 부족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동두천시 생연동에 사는 주부 김모(37)씨는 “정부는 집단식중독이 발생하면 역학조사 등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동분서주하지만 속시원한 원인도 못 내놓는 과거를 보면, 예방에는 엄두도 못내는 인력부족에 큰 원인이 있었다”며 “정부는 미리미리 예방할 수 있는 인력보충을 통해 올해는 집단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국민이 안심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