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정부의 ‘신재생에너지보급 융복합지원사업’ 참여 전단계로 컨소시엄 업체들을 공개 모집하지 않은 채 사실상 수면 아래서 진행해 온 양주시가 6월2일 “6개 업체로 컨소시엄을 구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보급 융복합지원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시행하는 것으로, 한국에너지공단 산하 신재생에너지센터를 통해 추진하고 있다.
지자체는 정부 지원금 외의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설비 설치비 등에 대한 매칭과 사업주관을 위한 주관기관으로, 업체(모니터링업체, 감리업체 포함)들은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계지원 및 설치 수행을 위한 컨소시엄으로 참여한다.
6월2일 양주시 관계자는 “5월 말까지 한국에너지공단 공고 기준으로 양주시 수요조사를 실시한 자격인증 업체 6곳이 우리를 찾아왔다”며 “이들 6개 업체 모두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주관기관으로서 공정하게 협업하여 사업계획서를 작성한 후 공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양주시는 주택·공공·상업건물 등 지원대상이 혼재되어 있는 특정지역이자 1종 이상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동시에 설치하는 구역복합사업으로 구성된다”며 “사업 신청 시민에게 총 사업비의 50%를 국비로 지원하고 30%는 시비를 추가 지원하여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에 만전을 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공모사업의 지자체간 선정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태양광 발전설비 입지제한 규정 완화를 추진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의정부시의 경우 지난 5월2일 일찌감치 컨소시엄 업체들을 선정한 뒤 수요조사를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2024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 신청 접수’를 공개적으로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