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
동두천시가 6월13일 기준 8만9,941명으로 ‘9만 시대’가 저물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내놓은 대책 때문에 공직사회가 분열하는 양상이다.
6월15일 동두천시 내부 행정망에는 ‘인구 9만 붕괴, 공직자의 실제거주 장려책이 필요하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은 “인구가 10만을 바라봤던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9만이 깨져 8만으로 내려간 것이 적잖아 충격”이라며 “동두천애(愛) 주소갖기 시행을 보며, 매번 인사철이나 승진 때에만 동두천에 주소를 이전하는 직원과 남의 집에 주소만 두고 실제는 관외에 거주하는 직원들이 많은데, 위장전입은 불법이라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이어 “실제 거주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대한 이익과 불이익을 차등 줘서 실제 거주하는 것을 장려하는 정책이 있어야 한다”며 “공무원으로서 위기감을 가지고 인구소멸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을 공식화하자”고 제안했다.
이 글이 올라오자 직원들은 저마다 댓글을 달며 입장을 개진하고 있다. 오후 5시 현재 조회수 2,900여회, 댓글 120여개가 달리는 등 ‘핫이슈’로 떠올랐다.
“우리 시 공무원들이 온 가족 다 끌고 들어와도 인구 빠져나가는 것 못 막는다. 모두가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어야 사람들이 들어오고 인구도 늘어난다.”, “헌법이 보장한 거주의 자유를 박탈하지 말라.”, “위장전입자에게 화살 돌리지 말라. 애초에 시 인사정책이 이따위가 아니었으면 위장전입도 없었다. 아둥바둥 살려고 하는 직원들 탓하지 말라.”
“위장전입 직원들 조사해서 불이익 줘야 한다.” “앞으로 관내 거주자로 신규 채용하고, 동두천 거주 직원에게 인센티브 부여하자.”, “공무원들이 동두천시를 사랑하지 않고 거주하지 않으면서 주민들에게 거주하기 좋은 동네라고 얘기할 수 있을까? 공직자 스스로 모범을 보여야 한다.”, “승진 시기 임박해서 부랴부랴 이사 오는 인간들은 얼마 안 가 도로 튄다.”
이처럼 공직사회가 양분된 가운데, 동두천시는 ‘공직자의 솔선 참여를 통해 시정 신뢰를 회복하여 인구문제를 극복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한 ‘동두천애(愛) 주소갖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벌이고 있다.
관내에서 생활하는 미전입자, 공무원 및 관내 기업·기관·단체 미전입자 등이 대상이다. 이를 위해 동두천시 모든 부서와 동 행정복지센터가 전방위적으로 뛰고 있다.
상반기 전입 목표 인원으로 신규자 등 공무원 및 가족은 150명(교육·평가·후생복지 등 인센티브), 공공기관과 기업체 직원 및 지인 500명, 동 행정복지센터 인구찾기 3,000명 등을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