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경기도의회 이인규 의원(동두천1)과 동두천시성병관리소보존을위한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가 6월19일 경기도의회 회의실에서 ‘동두천시 옛 성병관리소 보존과 활용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토론회 사회는 공대위 공동대표인 김대용 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 대표가 맡았으며, 1부는 이인규 의원의 환영사와 오영미·송성영 공대위 공동대표의 인사말, 경기도의회의 이영봉 문화체육관광위원장, 김재균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장, 박옥분 보건복지위원의 축사가 있었다.
이인규 의원은 환영사에서 “아직은 아물지 않은 우리 현대사의 아픈 상처이기에 생채기 내지 말자고 하고, 그 안에 다소 불편한 진실이 있을지라도 한 번쯤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만들어진 토론회”라며 “오늘 토론회는 70년 안보 희생 도시 동두천의 과거보다 다음 세대 희망을 만들어가는 미래도시 동두천을 그리는 밑그림으로, 시민을 우선 배려하여 생산적으로 논의하는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2부 주제발표 및 토론은 우순덕 (사)햇살사회복지회 대표가 좌장을 맡았다. ‘기지촌, 미군 위안부, 그리고 국가 책임’이라는 제목으로 첫 번째 주제발표를 한 박정미 충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일본 강점기로부터 시작된 위안부 제도가 그대로 이어진 것이 미군 위안부이며, 국가가 조장하고 방조한 책임이 크다”고 강조하며 “희소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 동두천 성병관리소를 보존하여 지역 역사와 여성 인권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김정애 기지촌여성인권연대 공동대표는 두 번째 주제발표 ‘기지촌 미군 위안부 국가배상소송 판결 과정과 의미’를 통해 2022년 9월 대법원 최종 승소 과정을 설명하며 국가의 공식적인 사과와 미군 위안부 여성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의 평화적 전환과 활용’이라는 제목의 세 번째 주제발표에서 최희신 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 활동가는 “성병관리소의 보존 방식을 원형 그대로가 아니라 인권과 역사박물관으로 전환하여 인근에 있는 어린이박물관, 자유수호평화박물관과 어우러지는 ‘박물관 클러스터’를 제안한다”며 “미군 위안부 성병관리소의 역사가 미군기지 반환과 국가의 보상을 강하게 끌어낼 수 있다”고 했다.
안태윤 서울여담재 관장은 ‘기지촌의 현재와 미래의 사회적 책무’, 김태정 두레방 활동가는 ‘기지촌 미군 위안부 여성들의 어제와 오늘의 삶을 기억하다’, 유광혁 전 경기도의원(동두천1)과 황순주 경기문화재단 정책실장은 ‘동두천 발전을 위한 첫 번째 과제, 장소성 회복’이라는 제목으로 토론을 진행했다.
김대용 공동대표는 “이번 토론회가 동두천시 성병관리소가 역사와 공익 측면에서 보존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평화와 인권을 위한 시민의 인식 전환과 건물을 보존하자는 여론이 확산하기를 기대한다”며 “국회에서도 관련 상임위와 토론회를 이어갈 것이며, 동두천시와 동두천시의회와도 소통과 협력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20일 출범한 공대위는 기지촌여성인권연대를 비롯해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경기여성연대, 두레방, 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 등 경기도와 동두천시 시민단체, 여성인권단체 중심으로 16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jpg)
.jpg)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