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게소 음식 품질 관리 안되는 근본적 문제가‘ 고령화...? ’
.jpg)
지난해부터 고속도로 음식값 인하를 추진 중인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1년 넘게 마땅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로 구성 된‘휴게소 음식값 인하 및 품질개선 T/F’회의 내용이 논란을 낳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민철 의원(더불어민주당·의정부시을)이
국토부와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월23일~ 2023년 3월29일까지 총 5차례에 걸친‘휴게소 음식값 인하 및 품질개선 T/F’회의가 열린 것으로 확인됐다.
2차(‵22.10.19) 회의의 주요 안건은 ‘휴게소 음식값 조정 및 서비스 향상 방안’을 논의했지만 주요 내용으로는“휴게소 음식값은 시중 대비 비싸지 않으나 정부, 국회, 언론 등에서 문제를 제기했다”고 명시되어 있었다.
“휴게소 음식이 비싸고 맛이 없다”는 국민들의 지적은 매년 반복되고 있지만 이런 지적에도 국토부와 한국도로공사는 관심 밖으로 보였다.
특히, 어제 열린 한국도로공사 국정감사에서도 휴게소 음식값 관련 질문에 함 사장은 "공사 직영 문제는 여러가지로 한계가 있다”면서 다만 휴게소 음식값은 "비싸지 않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최근 하루가 멀다고 이어지는 생활물가 상승세로 서민 가계에 큰 부담 주고있다”며 “휴게소 음식은 서민들의 한 끼 식사나 간식, 외식 메뉴로 애용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가격과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휴게소 음식값 인상 배경에는 도로공사 퇴직자 단체인 도성회의 자회사인 운영업체의 과다한 수수료가 자리 잡고 있다”며 “도로공사의 이권 카르텔로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고 비판했다.
더 황당한 것은 4차(‵23.01.06)회의 내용으로 ‘휴게소 음식 전반적 품질향상 방안 토의’를 진행하며 나온 휴게소 음식과 서비스 품질 저하의 문제가“고령화로 품질관리가 어려우며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품질관리와 고령화가 무슨 상관관계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정부는 노인 일자리를 14만명 넘게 늘리겠다고 말하는데 한국도로공사는 정부 정책에 거꾸로 가고 있다”고 지적하며 노인 일자리를 폄훼하는 공단의 태도에 분명한 해명과 조속한 시정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