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서정대학교(양영희 총장)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 센터는 22일 'HiVE사업 성과의 극대화 및 관리방안 답을 찾다'의 주제로 제4회 SJ HiVE 이슈&진단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 사업은 Higher Vocational Education hub district의 약자로 대학·기초자치단체·산업체·지역유관기관이 협력하여 지역소멸 등 지역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지역특화분야 선정을 통한 교육과정 개편과 지역특화전문 인재양성, 지역사회 평생직업교육 고도화, 지역 내 현안 해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양주시·연천군의 지역특화분야는 반려동물, 휴먼케어서비스, 그린식품가공 분야이다.
SJ HiVE 이슈&진단 정책포럼은 산·학·관·민·정 공론의 장을 통해 HiVE사업 내실화 방안을 모색하고, HiVE사업의 이슈 진단을 통해 사업 성과 창출을 위한 프로세스를 고도화하며, 정책과제 논의를 통해 양주·연천형 협력 교육생태계 구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서정대학교는 정책포럼을 통해 HiVE사업의 새로운 정책과제를 발굴하는 이니셔티브 플랫폼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사업성과를 점검·평가함으로써 사업운영을 고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jpg)
이날 포럼은 서정대학교 염일열 HiVE센터장이 좌장으로 전체 포럼을 이끌었고, 세경대학교 황선욱 부총장이 발제자로 참여하였으며, 산업연구원 홍진기 명예연구위원, 서정대학교 교육혁신지원센터 류형선 센터장, 서울대학교 산업인력개발학과 서예린 박사, 서정대학교 HiVE센터 교육운영팀 여영주 선임팀원, 양주시 아동청소년과 송 은 과장이 지정토론자로 참여하였다.
황선욱 부총장은 <HiVE사업 성과 극대화 및 관리방안>이라는 주제의 발제를 통해 성과 관리의 개념, 성과 관리 모델(PDCA, CIPP, ADDIE), 성공적인 성과 관리 방안, 성공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사례를 바탕으로 한 HiVE사업의 실질적인 성과 도출 방안과 체계적인 성과 평가 시스템 구축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홍진기 명예연구위원은 CIPP 모형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각 과정의 평가 중심 구성을 통한 성과관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말했다. 또한 명확한 정량지표, 성과목표, 성과지표 선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말했다.
류형선 센터장은 HiVE사업의 경우 지역과의 연대가 강조되었기에 다른 교육과정과의 개발, 운영, 환류 상의 차별성을 강조하였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차별성을 발굴할 수 있는 성과관리 체계의 필요성에 대하여 강조했다.
서예린 박사는 HiVE사업의 주요과제중 하나인 지역특화분야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성과 도출을 위해서 교육생의 특화 분야 자격증 취득 및 취업이라는 궁극적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화된 성과관리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영주 선임팀원은 HiVE사업의 주요과제중 하나인 지역사회 공헌 자율과제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지역 현안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실질적 산출 결과를 통해 성과를 측정, 해석, 판단하고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순환 의사결정 구조의 중요성에 대하여 말했다.
송 은 과장은 HiVE사업의 목표인 청년 정주여건 향상을 위한 양주시 주요 청년사업 현황 및 정주여건 개선 방안에 대하여 말했고 이를 위해 청년정책 기반 마련 및 예산 지원, 청년전용 공간 확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의 필요성에 대하여 말했다.
좌장으로서 토론회를 이끈 염일열 HiVE센터장은 “HiVE사업의 실질적인 성과도출을 위해서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은 매우 중요하다”며 “서정대학교 HiVE센터는 성과관리를 위한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고 적용하여 성과를 극대화하고 지역 정주 여건 향상에 적극적으로 이바지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