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
경기동북부 공공의료원 예비평가 결과 8월19일 양주시와 남양주시가 1차 통과했다. 탈락한 동두천시와 시민사회단체가 일제히 반발하며 강력 대응을 예고하고 나섰다.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는 8월20일 보도자료에서 “경기도는 공공의료원 설립 후보지를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를 통해 선정하겠다는 원칙을 내세우며 비공개 절차를 추진했다. 그러나 이번 발표로 도의 후보지 선정 과정 신뢰성이 크게 훼손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공공의료원 예비평가를 통과한 양주와 남양주를 제외한 5개 시·군은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언론 보도를 통해 결과를 알게 됐으며 이로써 경기도의 불투명한 행정이 드러났다는 비판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동두천 범대위는 “유치 희망 시·군 중 동두천시는 명분과 실리를 모두 갖춘 곳”이라며 “지난 2년간 9만명이 공공의료원 유치단으로 활동하며, 2023년 5월 범시민 서명운동으로 단 12일 만에 11만명의 서명을 받아 제출했다. 10월에는 700여명의 시민이 생업도 포기한 채 경기도청에 모여 도의 관심과 지지를 외치며 공공의료원 설립을 염원하는 강한 의지를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특히 “동두천시는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응급의료취약지로 경기동북부 의료취약지역인 연천과 가평 연결망의 정중앙에 위치해 의료거점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완공된 동두천 제생병원 본관동 건물을 50년간 무상으로 제공하겠다는 파격적인 제안으로 도민 혈세 2,000억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까지 제시했음에도 경기도의 결정에 실망을 감추지 못하겠다”고 밝혔다.
심우현 동두천 범대위원장은 “경기도의 이번 결정은 작년부터 공공의료원 유치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했던 시·군과 경기동북부 도민 모두를 철저히 무시한 결과”라며 “동두천을 포함한 경기동북부 의료취약지 4개 시·군을 모두 배제하고, 국가가 지정한 신도시 지역만을 통과시킨 결정을 어떻게 공정하다고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라고 반문했다.
경기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은 민선 8기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주요 공약 중 하나로, 동두천을 포함한 경기동북부에 400병상 이상의 신규 공공의료원을 설립해 낙후된 의료체계를 개선하려는 취지로 추진된 공모사업이다. 경기동북부 8개 시·군 중 7개 시·군이 참여할 정도로 최종 후보지 선정에 대한 관심이 컸다.
김동연 지사는 과거 당선인 시절 인수위 출범 현판식에서 “여야, 진영논리, 정파를 떠나 오로지 도정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만 매진하겠다”며 “실사구시와 공명정대를 가슴에 새기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한편, 동두천 범대위는 8월21일 시민 300여명과 함께 경기도청을 항의 방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