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ng)
그동안 공개 석상에서 ‘호원동 예비군훈련장 관외 이전’을 호언장담했던 김동근 시장이 결국 예상대로 이 약속을 폐기했다. 관내 이전에 따른 지역 갈등 책임을 시민공론장으로 떠넘긴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 시장은 8월23일 보도자료를 통해 “예비군훈련장이 관외로 이전되지 못함에 시민들께 대단히 송구한 마음”이라며 “관내 존치로 가닥을 잡은 상황에서 시민공론장을 통해 시민 주도 아래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이전 대상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예비군훈련장 이전 대상 지역 간 주민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우려된다.
의정부시는 “호원동 예비군훈련장 이전 대상지를 시민들의 민주적 참여와 충분한 숙의 과정을 거치는 시민공론장을 통해 결정하겠다”며 “9월 중 시민공론장 준비위원회를 발족한 뒤 논의를 거쳐 의제, 구성, 절차를 확정하고 10월 중순 시민공론장을 공식 출범하여 이전 대상지와 지원조건을 결정한 다음 ‘시민의 이름’으로 의정부시에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2021년 10월 중앙도시계획위원회가 예비군훈련장의 자일동 이전을 조건부 가결했지만, 지역 간 갈등이 예상됨에 따라 이전 방안 재검토를 결정했다”며 “이후 국방부와 타 지역 이전 등을 전제로 대상지 결정에 대한 재협의를 추진해 왔으나, 국방부가 ‘2014~2030년 국방개혁 기본계획’에 따라 의정부 관내 존치 원칙을 고수해 협의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했다.
이에 더해 “더 이상 이전이 늦춰지면 수도 방위에 중요한 군 예비병력 운영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국방부 입장에 따라, 자칫 기존 호원동 예비군훈련장이 과학화 예비군훈련장으로 존치될 위기에 처하게 됐다”며 “이러한 난항 속에서도 의정부의 한정된 토지 자원에 대한 이해를 구하며 협의를 지속해 ‘의정부시 예비군 자원(약 2만4천명)만을 대상으로 하는 주민친화형 과학화 예비군훈련장 설치’를 제안, 국방부가 이를 수용함에 따라 의정부시는 당초 철원‧가평‧포천‧연천‧동두천‧양주시를 포함해 예비군훈련장 이전 운영에 필요했던 면적을 10만평(B형)에서 5만평(C형)으로 축소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또 “신설 훈련장 내 공원, 수변시설, 체육시설, 주차시설 등 주민친화시설을 설치해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호원동은 존치 대신 이전이 확정적으로 보이며, 자일동과 가능동 등이 유력 대상지가 될 전망이다. 주민 갈등 아래 자일동 지역구 김연균·김현주·김지호 시의원과 가능동 지역구 오범구·최정희 시의원의 힘겨루기도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