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양주시의회가 후반기 의장단 선출을 하지 못해 지난 7월1일부터 ‘개점휴업’ 상태에 빠져 있다. 특히 국민의힘 의원들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의장 후보를 합의하지 못하자, 민주당 의원들의 계속된 등원 거부로 정상화가 지연되고 있다.
민주당은 전반기 때 합의한 대로 후반기 의장은 민주당 의원이 되어야 하고, 당론으로 최수연 의원을 의장 후보로 결정했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각종 고소 고발 주도자인 최수연 의원만은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양주시의회는 후반기 의장과 부의장 선출을 위해 지난 6월25일 제369회 임시회를 개회했으나 민주당 의원들의 등원 거부로 15일 뒤 자동 산회됐다.
양주시의회는 민주당 4명, 국민의힘 4명으로, 지방자치법상 최소 5명 이상이 본회의에 등원해야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10월14일에도 의장단 선출을 위해 제370회 임시회를 개회했으나, 역시 민주당 의원들의 등원 거부로 개점휴업 중이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의원들은 10월22일 입장문을 내고 “민생과 예산안에 관심도 없는 민주당 의원들은 의회 민주주의의 기본을 지켜주기 바라며, 의장 자리싸움을 계속하겠다면 잠시 싸움은 중단하고 원포인트 ‘추가경정예산안 심의’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양주시의회는 100일이 넘도록 후반기 의장 선거를 못하고 있다. 합의서 대로 진행하자는 민주당 의원들이 회의에 참석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전반기 의장 선출 때도 민주당 의원들은 회의에 참석하지 않으며 합의서에 서명을 요구했고, 우리는 그들의 행태에 혀를 찼지만 어쩔 수 없이 합의서에 서명했다. 처음부터 민주주의의 법과 규칙대로 의장을 선출하면 되는 것인데, 그들은 밀실 거래로 후반기 의장 자리를 잡으려 꼼수를 부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각종 고소 고발로 신의를 깨뜨린 것은 민주당 의원들”이라며 “합의는 신의가 남아 있을 때 효력을 발휘할 수 있을 뿐 각종 고소 고발로 신의가 깨진 상황에서 그들이 합의 내용만 주장하는 행태는 떼쓰기에 불과하다”고 했다.
또 “형제간에도 고소 고발이 발생하면 서로 헐뜯다가 결국 의절하게 되는 일을 우리는 주변에서 많이 봐 왔다”며 “본인들의 행동을 뒤돌아보기는커녕 또다시 시민을 담보로 의장 자리에 욕심내고 있는 민주당 의원들은 이제 그만 시민의 민생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의원들은 밀실정치는 그만하고 의회 민주주의의 기본을 지켜 법과 규칙에 따라 토론과 의결을 통해 공정하게 의장을 선출하기를 희망한다”며 “민주당 의원들은 그동안 불출석으로 열리지 못했던 임시회에 동의하고 각종 의안 심의에 동참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