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신규 전입 주민 패스 발급하라!”, “걸산동 소멸 정책 철회하라!” “70년 공짜 사용, 특별법으로 보상하라!”, “제생병원을 종합병원으로 개원하라!”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위원장 심우현)는 4월23일 오후 2시 미2사단 앞에서 걸산동 신규 주민 패스 발급 중단을 항의하고 동두천 지원 대책 마련 및 제생병원 개원 등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범대위는 앞선 4월21일부터 미2사단 앞에서 무기한 1인 시위를 시작했다.
이날 걸산동 주민, 범대위 회원, 시·도의원 등 50여명은 결의문에서 “우리는 70여년 동안 국가안보를 위해 묵묵히 희생해 온 동두천시민”이라며 “그러나 정부와 주한미군은 우리와의 약속을 외면하고 동두천을 끝없는 희생의 땅으로 방치하고 있다. 이것이 국가인가 아니면 국민의 약탈자인가?”라고 따졌다.
이어 “2014년 미2사단 병력이 모두 철수하고 일부만 동두천에 잔류하는 대신 정부는 보상을 약속했지만,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주민들은 여전히 기지에 둘러싸인 채 기본적인 이동권조차 침해당하고 있으며, 걸산동 주민들은 미군부대 통행 허가조차 거부당해 고립 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시위 참가자들은 “동두천은 전체 면적의 42%를 미군기지로 제공하고 25조원에 이르는 경제적 손실을 감내해 왔다”며 “기지가 이전해 간 평택에는 특별법과 막대한 예산 지원, 대기업 유치가 이루어진 반면 동두천에는 아무런 실질적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명백한 형평성 침해이며, 정부의 약속 불이행으로 우리를 두 번 세 번 죽이는 행위”라고 질타했다.
계속해서 “주한미군 공여지 지원법상 반환공여지는 국가가 주도적으로 개발해 주기로 되어 있는데, 동두천시가 국가대표 스피드스케이트장을 반환공여지인 캠프 캐슬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어 신청하였으나 정부는 아직도 묵묵부답”이라며 “제때 보상이 이루어졌다면 동두천 제생병원 개원도 30년이나 방치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에 동두천시민은 더 이상 침묵하지 않고 행동에 나설 것을 천명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장기 미반환공여지 지원특별법을 즉각 제정하라 ▲평택과 동등한 수준의 지원 대책을 마련하라 ▲동두천 국가산업단지 30만평을 정부 주도로 신속히 추진하라 ▲걸산동 신규 전입 주민에게 통행 패스를 즉각 발급하라 ▲종단 대순진리회는 조속히 동두천 제생병원을 종합병원으로 개원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 요구사항이 관철될 때까지 무기한 릴레이 1인 시위를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며 “이제는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 더 이상의 침묵은 동두천의 희생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심우현 범대위 위원장과 김승호 동두천시의회 의장은 이날 삭발까지 감행하며 결연한 의지를 표명했다.
.jpg)
.jpg)
.jpg)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