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정가가 어수선하다. 홍문종 한나라당 도당위원장이 5.31 지방선거를 앞에 두고 벌이는 어지러운 정치적 행보가 연일 언론을 타고 시민들에게 전달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당은 홍위원장을 공천심사위원장으로 하는 공천심사위 구성안을 15일 결정한 뒤 중앙당 최고위원회에 제출했으나, 강한 반대에 부딪혀 16일 좌초됐다. 그러나 17일 김성수 양주·동두천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과 장정은 경기도의원을 배제하고 대타로 황규선·박종희 전 국회의원을 심사위원으로 하는 구성안을 만들어 17일 최고위원회의 인준을 이끌어냈다.
이 과정에서 심재철 국회의원 등이 강하게 반발하며 문제가 확산됐다. 심의원은 기자회견을 열어 “홍문종 도지부장은 현재 선거법 위반 혐의로 2심에서 25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대법원에 계류중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본인이 공심위에 들어가고 더구나 공심위원장까지 차지하겠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공천심사기준에는 당선 가능성 등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시대의 흐름이나 한나라당의 부정적 이미지 전환을 위해서나 도덕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밖에 없다. 공심위원장부터 도덕성 시비거리를 제공한대서야 공천 탈락자들이 어떻게 공천 관련 도덕성 기준을 쉽게 승복하겠는가. 남에게 엄격하려면 자기 자신에 대해서부터 엄격해야 한다”고 질책했다.
홍위원장은 과거 민자당에서 민주당으로, 다시 무소속이었다가 한나라당으로 당을 바꿔 ‘정치 철새’라는 오명을 받아온 장본인이다. 특히 최근에는 그가 이사장으로 있는 경민대학이 교비와 국고보조금을 빼돌린 혐의(횡령)로 학장인 아버지 홍모(83)씨가 지난해 전격 구속됐다가 현재 형 집행정지 중이기도 하는 등 이래저래 위신이 깎이고 있다.
2002년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김문원 한나라당 지구당 위원장과의 ‘정치판짜기 큰 거래’를 통해 지구당을 접수한 것을 두고도 당시 의정부시장 출마후보군과 일부 당원들은 ‘사기정치’ ‘패륜정치’라고 극렬 반대하는 등 문제의 진원지 역할을 도맡았다. 벌써부터 유사한 정서가 지역에서 나돌고 있다. 많은 이들은 최근 홍위원장이 정치적 무리수를 두고 있다며 왠지 모르게 무척 초조해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런 점들을 감안한다면 홍문종 도당위원장은 결자해지의 자세로 심각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정치는 신뢰와 도덕성이 근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