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대한양돈협회 양주지부가 지난달 23일 농업기술센터 2층 강당에서 긴급모임을 갖고 양돈분뇨처리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의했다. 이들의 회동은 가뜩이나 농축산물 수입으로 타격을 받고 있는 현실에서, 향후 한미 FTA 협상 등 ‘국제적 강제 거래’로 인한 무관세 수입폭 확대에 자극 받았기 때문이다. 더 문제가 심각한 것은 이러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농촌을 지키며 ‘애국하는 심정으로’ 생업을 이어오고 있으나, 분뇨처리 한계에 봉착해 곧 도산될 것이라는 위기의식이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정부가 제정한 오분법에 따라 분뇨를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분뇨를 제대로 처리하려면 1천마리 기준 시설비만 10억원 이상 들어가야 한다며 한숨을 내쉬고 있다. 퇴비화, 액비화에도 심각한 문제들이 도사리고 있다. 정상적인 처리는 점점 포기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에 따른 궁여지책으로 해양투기가 성행하지만, 톤당 처리단가가 높아 먹고 사는 게 쉬운 일은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반대편에서는 당연히 해양오염을 지적할 수 밖에 없고, 2008년이면 해양투기마저 금지된다. 이 때문에 양돈농가들은 남몰래 분뇨를 살포하는 ‘범법행위’를 자행하기도 한다.
사정이 이런대도 200여 양돈농가가 존재하는 양주시는 문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행정체계도 중구난방이다. 축산농가 관리육성은 농축산과가, 분뇨배출실태 관리는 환경보호과가, 오폐수처리장 관리는 건설행정과가 맡고 있다. 그러나 누구 하나 가축분뇨의 총 발생량과 처리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 부분은 ‘양돈농가 폐수처리실태를 맘 먹고 단속하면 백발백중 걸린다’ 정도이다. 이러다 보니 양돈농가가 분뇨처리를 위해 골머리를 앓고 있고, 1년여간 대안을 제시해도 ‘씨도 먹히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축분뇨 공동처리장을 만들어 슬러지는 퇴비공장으로, 처리수는 신천하수처리장으로 보내면 문제가 쉽게 해결될 것 같은데 양주시가 요지부동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양주시가 2003년 10월 도농복합시로 승격하면서, 때를 맞춰 도시개발이 한창이다. 양돈농가들에게는 점점 살아남기 힘든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것이다. 양주시가 농축산업과 농민들의 생존권을 포기하고 도시민만을 위한 행정을 펼칠 것인지 시험대에 올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