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원 전 의정부시장 재임 시절 체결된 의정부경전철 민간투자시설사업 실시협약이 새삼 의정부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2006년 4월14일 의정부시와 ㈜의정부경전철 사이에 체결된 실시협약에 따라 2007년 7월26일 기공식을 한 뒤 그해 10월15일 터파기 작업 등 착공에 들어간 경전철은 현재 75%의 공정율을 보이고 있다.
의정부경전철은 그동안 론칭거더(상판구조물 거치대) 2개가 붕괴돼 작업인부 13명이 사상 당하는 대형참사는 물론 낙하사고로 임산부를 유산시켰다. 정전사고로 수백세대 주민들을 추위에 내몰기도 했다.
이처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의정부경전철을 추진한 재선의 김문원 시장은 지난 6.2 지방선거 때 ‘경전철 잠정 중단’을 외쳤던 안병용 현 시장에게 낙선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그만큼 경전철은 수년 동안 의정부시를 뜨겁게 달구는 이슈가 됐고, 현재진행형이다.
9월6일 한나라당 강세창 의원이 민주당 안병용 시장에게 한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은 한나라당 김문원 전 시장이 뿌려놓은 씨앗 때문에 싹 튼 일이다. 보는 이에 따라서는 정치적이었을 수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김 전 시장이 제대로 처리했다면 일어날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에 안타깝다.
강세창 의원은 먼저 안병용 시장이 후보 시절 내세웠던 핵심공약인 노선변경, 도심구간 지하화, 적자보전 재협상 등을 건드렸다. 더 나아가 “매년 200억원이 적자보전금액이라고 주장한 산출근거를 대고, 근거가 없다면 허위사실 유포에 해당된다”며 은근한 압력을 넣기도 했다. 게다가 김문원 시장 시절 의회에서 요구했던 경전철 담당부서의 확대개편도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반대했다.
지방정치가 여야로 나뉘어 공격과 수비를 하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거기에는 오로지 시와 시민을 위한 행위인가 아닌가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옳고 그름 또한 시민의 행복을 우선으로 하여 잣대가 달라진다. 시장이 바뀌었다고 공무원 생각도 바뀌었다고 탓을 하지만 공무원들은 시장의 정책에 따라 흔들리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중요한 점은, 정말로 의정부경전철이 시민의 편의를 위한 사업인지 아닌지, 돈먹는 하마인지 아닌지, 도심 속 흉물을 어떻게 개선해야 좋을지 등을 검토해야지 정치적인 여야로 나뉘어 물고 뜯고 할 사안은 아니라는 것이다. 진실을 밝히려는 노력이 이유없이 폄하되는 것도 경계해야겠지만, 정치적 공격거리로만 삼아서도 안된다. 경전철 문제는 그만큼 크고 다급한 사안이다.
김문원 전 시장이 뿌려 놓은 경전철 고통은 여야 구분없이 한마음 한뜻으로 지혜롭게 풀어가야 할 지상과제다. 안병용 시장도 의원들도 경전철 문제만큼은 자유로울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