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신당 의정부당협(위원장 유병두)은 10월23일 의정부예술의전당 국제회의장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의정부 뉴타운 토론회를 개최했다. 그러나 의정부시와 의회에서 단 한명도 패널로 참석하지 않아 비난을 샀다.
이날 열린 ‘의정부 뉴타운 문제점 및 대안개발방식 모색 토론회’에는 민주노동당 홍희덕 국회의원, 국민참여당 김종한 의정부을 위원장, 의정부YMCA 최근혁 사무총장, 장애인차별철페연대 이경호 회장, 시민 등 120여명이 참석했다.
목영대 뉴타운대책위원장은 “그동안 의정부시와 의회에 토론회 참석을 요청했으나 거부당했다”면서 “이는 시와 의회의 입장을 듣기 위해 참석하신 주민들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발제를 맡은 나눔과미래 이주원 지역사업국장은 “이명박 서울시장 당시 강북 난개발 방지, 강남 수요억제, 강남북 균형발전 등을 목표로 시작되어 황금알을 낳을 것 같던 뉴타운 사업이 이제는 계륵 같은 존재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업성 부족, 소통없는 추진, 주민의견 미반영, 불투명한 업무처리 등 뉴타운 사업은 조합이 설립되면 브레이크 없는 기차처럼 ‘묻지마 뉴타운 개발’로 끌려가게 된다. 뉴타운 사업은 비리와 부패의 종합선물세트가 되어 버렸다”면서 “전면 철거와 아파트 개발이 아니라 서울시가 대안으로 내놓은 휴먼타운이나 은평구의 두꺼비하우징사업 등 현지 개량방식을 검토해 볼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의환 민생연대 의정부지부장은 “1차 시범뉴타운 왕십리2구역도 8년 만에 첫삽을 떴다”며 “의정부 뉴타운 계획안의 종합적인 문제점을 한달 전에 제기했으나 시로부터 아직까지 속시원한 답변을 받아보지 못했다. 의정부시는 주민들의 높은 반대여론과 불안에 대해 성의 있는 대답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권정순 변호사는 “뉴타운 사업의 본래 목적은 원주민의 낙후된 주거환경 개선에 있었으나 엉뚱하게도 개발이익 극대화를 염두에 둬 원주민 재정착율이 낮고, 원주민 교체현상만 일어난다”면서 “지자체의 책임행정 의식이 부족하여 수많은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진보신당은 지금처럼 의정부 뉴타운이 진행되면 소형·저렴주택 멸실로 관내 전체 전·월세 물량 품귀현상과 임대료 상승 등 주거대란이 초래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