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선관위의 지도단속이 한계에 봉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의정부선관위는 그동안 지역내 사정을 꿰뚫고 있는 담당자들이 인사교체로 다른 시군으로 전출간 데 이어, 지난달 13일에는 선관위 업무를 처음 접해보는 노동부 근로감독관 출신을 지도계장으로 임명했다. 이 때문에 지도단속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 우려는 현실로 나타났다.
김문원 의정부시장의 사조직으로 알려진 한북산악회가 지난 7일부터 11일까지 4박5일 동안 일본으로 선상 크루즈 여행을 다녀왔으나, 선관위는 이 사실을 9일 기자들이 취재에 들어가지 전까지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선거를 앞두고 정치인 사조직으로 알려진 단체가 대규모 해외여행을 떠난다면 미리 알고 단속대비를 하는 것이 상식일텐데 말도 안되는 행정을 펼치고 있었던 것이다.
특히 의정부선관위 최고 수장은 10일 기자들과 만나 “선감단이 알고 있었다”면서 “선감단이 자체 조사중이어서 보고가 안된 것”이라는 어이없는 해명을 일삼고 있다. 예상후보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매일 보고받고 있는 선관위인데, 이 해명을 믿어달라는 것인지 우리는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 불법선거를 막기 위해 최고 5억원을 포상금으로 내건 선관위가 수십만원이 없어 알고도 일본을 따라가지 못했다는 해명도 기가 막힌다. 한북산악회 부산 출발 당일인 7일 선감단이 현장조사를 했다는 증언이 여러 곳에서 나왔으나, 정작 의정부선관위가 외유 사실을 몰랐다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민간인으로 구성된 선감단의 은폐시도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의정부선관위는 그동안 김문원 시장과 한나라당에 대해서는 유독 관대한 처분을 내려 편파시비를 불러왔다. 의정부선관위는 특히 1월6~15일 진행된 김문원 시장의 동별 업무보고 당시 치적홍보와 선심행정, 지지유도 등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판단결과 선거운동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김시장의 선거운동사무실 운영도 언론보도가 나가기 전까지는 전혀 알지 못했다.
의정부선관위가 이처럼 편파적인 이유는 최고 수장이 과거 의정부시 공무원이었기 때문이라는 지적을 불식시켜야 한다. 이미 진행된 불·탈법 선거운동은 물론 최근 떠도는 공천헌금설과 이번 한북산악회 대규모 외유까지 실체적 진실을 밝혀야 앞으로도 편파시비를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의정부선관위가 우왕좌왕 하는 사이 곳곳에서는 교묘한 선거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의정부선관위가 공명선거를 포기했다는 지적이 더 이상 나오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