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병원에 장례식장이 들어설 것이라며 동두천시의 노인병원 건축허가 취소를 요구하는 아차노리 주민들의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바로 동두천시의 건축허가 승인의 부적성이다.
만약 동두천시가 건축허가 승인요인을 제대로 검토했다면 상황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주민들에 의해 노인병원 사업주 목영길씨와 최용수 시장의 관계를 비롯해 온갖 특혜의혹이 제기됐었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노인병원 건축허가에 대한 동두천시와 경기도 제2청의 감사결과가 모두 “후속 조치가 요구되나 건축허가 취소 요건이 되지 않는다”로 나왔지만 2005년 12월 병원설계도의 정확한 검토 없이 승인을 내 준 동두천시가 책임을 피해갈 순 없다. 취소 요건이 되지 않지만 당시 건축허가 승인 조건도 되지 않기 때문이다.
당시 동두천시 주택과가 승인을 내주었던 우·오수 처리시설 설계도면만 봐도 병원 오수관 지름이 하수관 지름보다 더 커 연결이 불가능했다. 건축허가를 내주기 전에 대책을 요구해 완벽한 설계도를 다시 받은 후 건축허가를 승인했어야 했다. 건축허가를 서두른 이유, 여기서 주민들의 의혹이 시작되는 것이다.
우·오수 처리시설과 관련해 취재진과 주민들에게 도시과는 “병원 우·오수관과 하수관을 연결시킬 계획조차 없다”면서 “지름크기 차이로 연결시킬 수 없다”고 말해 건축허가를 내준 주택과에 대한 불신은 더 커진 것이다.
동두천시가 주민을 설득하려 내세운 ‘병원 지하 1층에 장례식장 운영을 하지 않겠다’던 공증도 믿음을 사기에 역부족이었다. 처음에는 병원을 건립한다고 했다가 노인병원으로 바꾸고 최시장 역시 초기 주민들의 면담에서는 병원측의 이담노인병원 인수, 대토 등의 방안으로 아차노리 마을에 장례식장 운영이 가능한 노인병원이 들어서지 않게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 후 병원 건축허가가 나자 달랑 법적효력이 없고 책임을 물을 수 없는 공증만을 내세워 주민을 이해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었다.
병원 사업주 목영길씨의 관계에서도 최시장은 말 바꾸기를 했다. ‘모르는 사람’에서 ‘지역사회이다보니 안면 있는 사람’으로 바뀐 것이다.
여기에 더해 민원을 대변할 시가 병원을 대신해 주민들에게 보상을 제시하고 협박성 글을 시 홈페이지에 올리니 주민들의 의심과 화는 커질 수 밖에 없었다.
동두천 초입의 아차노리 마을.
동두천시와 최용수 시장은 아차노리 마을을 ‘님비마을’이라고 부르기 전에 주민들로부터 의혹을 사게 된 자신들을 먼저 되돌아보고 실수와 잘못을 솔직히 인정하는 일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