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강성종 국회의원(의정부을)이 8·15 광복 61주년을 맞아 지난 8월11~13일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회장 김희선) 등 국회 역사관련 5개 연구단체 소속 의원 9명과 함께 일본 야스쿠니 신사를 현장조사했다. 그러나 일본 극우단체 등의 ‘피튀기는’ 저항에 부닥쳐 상당한 시련을 겪었다. 26일 신흥대학 이사장실에서 강 의원을 만났다.
-야스쿠니 신사 현장조사 배경은.
=야스쿠니 신사의 근본적인 문제는 특A급 전범인 쇼와일왕의 전쟁책임을 면책시킨 것에서 기인한다. 야스쿠니는 일본 군국주의화의 정점이다. 이 때문에 8·15를 맞아 야스쿠니 신사 현장조사단을 구성했다.
-일본에서 무슨 활동을 했나.
=사민당이나 공산당, 무소속 국회의원들과 연대를 모색했다. 11일에는 일본 국회의원, 시민단체 등과 함께 변호사회관에서 히비아 공원까지 촛불 거리행진을 펼쳤다. 12일에는 야스쿠니를 방문했다. 애초 외교문제 비화를 우려한 일본 경시청이 “우익단체가 지키고 있으니 정문이 아니라 남쪽문으로 들어가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우리는 거절했다. 우익단체 회원들이 몰려들어 “조센징은 가라” 등을 외치며 분위기가 험악해졌다. 욕설과 수모를 받으며 야스쿠니 신사 부궁사에게 공개질의서를 전달했다.
-공개질의서 내용은 뭐였나.
=야스쿠니 신사와 류슈칸(전쟁기념관)의 역사인식, A급 전범과 한국 희생자의 무단 합사문제 등을 제기했다.
-류슈칸은 뭐가 문제인가.
=일본의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역사를 미화하고 있다. 태평양 전쟁은 아시아, 아프리카를 해방시키기 위한 전쟁이라고 선전하고 있다.
-앞으로의 계획은.
=합사는 반인륜, 반문명, 반종교적이다. 그것도 가해자와 피해자가 합사됐다. 일본은 진실된 역사가 실종됐다. 앞으로 수상 및 각료의 참배 중단 촉구, 한국인 무단합사 취하 촉구, 류슈칸 역사왜곡 시정, 국제연대 확대 등을 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