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공룡처럼 우뚝 서 있는 보산역사 맞은 편에 공룡알처럼 작은 전통찻집 ‘한다원’이 자리잡고 있다.
전철역사에 비하면 5~6명이 들어갈 수 있는 공룡알처럼 작은 공간이지만, 이곳에서는 진한 쑥 향기와 함께 차를 마시며 인생을 이야기하는 숱한 사람들의 다양한 세상사가 풍긴다.
시인 김경식씨와 아동문학가이며 시인인 이주원씨 부부가 한다원을 운영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20년 전이다. 1993년, 노총각 시인과 스물여섯 처녀 시인이 동두천에 신접 살림을 차려 한해 뒤 사랑방처럼 이용되기를 원하는 마음에 문을 열었다.
한다원에서 영지탕, 은행탕, 한다탕, 생강탕, 송화탕, 모과탕, 당귀탕, 솔잎탕 등 전통차 한잔에 인생을 논했던 사람들은 1년 후에도, 5년 후에도 그리고 10년 후에도 잊을만하면 찾는 인생역이 되었다. 차 재료는 김씨가 직접 고대산에서 채취해 정성껏 다려 제공하고 있다.
이 인생역 또한 지난 1998년 여름, 수마가 덮쳐 두 부부가 펴낸 시집 등 그토록 아끼고 아낀 1만여권의 책을 삼켜버렸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도 이씨는 깨달음이 있었다. 아무리 소중한 것도 나누는 기쁨보다는 작다는 것.
그 후 부부는 복지관을 시작으로 경찰서, 교도소, 군부대, 미2사단, 도서관, 학교 등 책이 필요한 곳에 책을 기증하기 시작했다. 멕시코, 브라질 등 해외동포들에게도 책을 보내기 시작해 현재까지 수만권의 책을 기증했다. 또한 전통찻집을 시작하면서 아이들에게 일주일에 두번 다례와 풍류, 시낭송,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3년째 한다원을 다니는 이정연(생연초2년) 학생은 신경질적이고 남을 배려할 줄 모르는 아이였다. 하지만 다례를 배우고 시를 쓰면서 남을 배려하고 온화한 성격으로 바뀐 대표적인 어린이다.
정연 어머니 박옥경씨는 “정연이를 이곳에 보내면서 너무도 많은 변화를 보고 있고, 저 또한 아이문제와 부부문제 등을 차를 마시며 이야기하고 나면 한결 마음이 편안해 지는 곳”이라고 말했다.
이주원씨는 “아이들에게 공부보다는 인품을 가르치면서 자연을 접하고, 부모와 자식 간에도 분명한 선이 있어 서로 대우받는 세상이 되어야 한다”며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처럼 어려서부터 인품을 가르치는 것이 공부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년 동안 한다원을 거쳐간 수많은 어린이들은 오늘 대학생과 사회인으로 성장하여 다시 한다원을 찾아 한 잔의 차를 놓고 이주원씨와 인생을 논하는 영원한 벗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