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와 의회가 그동안 삐걱이던 시설관리공단 설치조례를 지난 4월10일 제정한 뒤 계획대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시는 지난 7일 시설관리공단 이사장후보 모집공고를 낸 뒤 14일부터 17일까지 신청서를 접수받았다.
접수마감 결과 이상남 전 양주부군수, 현삼식 전 양주시 사회산업국장, 홍영섭 전 양주시 장흥면장, 김완수·이상원 전 양주시의회 의장, 이종상 전 의정부시 청소과장 등 6명이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후보로 신청했다. 꽤나 이름이 알려진 이들이 이사장이 되기 위해 상당한 경합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일단 이들중 한명이 내년 1월 발족하는 양주시설관리공단 초대 이사장이 될 예정이다.
양주시는 그동안 낙하산 인사의 대명사쯤으로 여겨지던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공개모집하는 파격적인 정책결정을 내렸다. 아직도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은 ‘낙하산 부대’의 차지인 지방자치단체가 많기 때문이다.
양주시는 이사장 후보 추천위원회를 열어 위원 7명을 위촉하고, 이사장 후보 모집공고 및 선발기준, 면접심사 방법과 평가기준을 심의하는 등 공정성과 공개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사장 지원자격은 종업원 200인 이상의 기업체 대표이사 또는 상임임원 직위에 5년 이상 재직한 경력, 5급 이상 공무원으로 5년 이상 재직한 경력, 공공기관 또는 정부투자기관에서 4급 이상 공무원 상당직에 5년 이상 재직한 경력, 지방공무원법에 의한 정무직 공무원으로 5년 이상 재직한 경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양주시는 거주지 제한사항으로 공고일 현재 양주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한다고 덧붙여 인재들의 광범위한 지원을 막아버렸다. 그러면서 위장전입 문제는 빠져나가 논란의 불씨를 남겨놓고 있다.
결과적으로 전직 공무원과 정치인들이 이사장을 지원했다. 경영전문가는 단 한명도 신청하지 않았다. 이렇게 되면 처음 설립되는 시설관리공단이 경영개혁보다는 관리쪽에 무게를 둘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시가 관리하던 업무를 시설관리공단이 단순하게 받아오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올 법 하다.
이사장 지원자들의 능력과 자질은 이미 여러 상황을 통해 상당부분 검증된 바 있다. 이사장 후보추천위원회가 이들에 대해 사심없이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철저하게 검증하길 기대한다. 시설관리공단 초대 이사장은 향후 최소 10년의 틀을 잡는 중책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