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종안/시민운동가 |
양주신도시는 넓게 보아 이미 개발이 완료된 덕정지구, 고읍지구와 새로 개발이 시작되는 옥정지구, 회천지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주신도시를 개발하기 위한 구상으로 택지지구로 확정된 지역에 더하여 주변에서 빠진 청담천, 회암천의 천변 농지를 추가로 포함하여 도시계획의 틀을 새로 짜야 한다고 본다.
가만히 양주신도시 개발 양상을 보면 LH공사 통합 전 주택공사와 토지공사의 땅따먹기를 연상치 않을 수 없다. 주택공사는 저급한 도시개발 개념으로 양주에서 처음 덕정지구를 1,2차로 나눠 약 24만평을 개발했다. 기반시설이나 공원, 인구밀도 등에서 매우 뒤쳐진 개발을 하였다고 본다.
뒤이어 본격적인 신도시 차원의 고읍지구가 토지공사에 의하여 약 45만평 개발됐고 분양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연이어 토지공사가 옥정지구 212만평을 지구지정하자, 뒤질세라 주택공사가 회천지구 133만평을 경쟁적으로 지구지정했다.
양 공사 통합에 앞서 서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자 구체적인 실천계획 없이 자사의 세불리기 차원에서 서둘러 지정한 인상이 짙다. 도시발전에 목말라 있던 당시 양주군으로서는 두 공사의 경쟁을 싫어할 이유를 특별히 찾을 수 없었다. 양주군 재정으로는 엄두도 못 낼 상전벽해 같은 신도시 개발 청사진이 그려지니 덩달아 개척시대를 맞은 것이다.
현재의 양주신도시(옥정, 회천)와 기존 덕정, 고읍지구를 포함하면 약 420만평에 다다른다. 가만히 개발구역 지도를 보면 양주신도시 남쪽 청담천변 생산녹지와 고읍지구, 삼숭동 자이아파트 사이의 농지도 크게 보아 양주신도시에 편입되어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고읍지구와 양주신도시 조성택지가 평당 400만원 선에서 분양되는 마당에 이곳에서 투자 대비 수익성 없는 농사를 지어야한다는 것은 경제적 토지이용이 되지 못하고 편법 이용을 조장하는 일이 된다. 이를 감안한 신도시 계획을 보완적으로 다시 짜야 마땅하다고 본다.
재무상태가 매우 어려운 LH공사의 추가 확장개발이 어렵다면 의·양·동 통합으로 몸집과 힘을 불린 다음 가칭 ‘양주권개발공사’를 설립해서라도 신도시 주변 난개발을 방지하고, 신도시 차원에서 계획적인 개발을 해야한다고 본다. 이는 충분한 수익성과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 이러한 구도가 이루어진다면 양주신도시는 사실상 약 600만평 이상으로 분당급 신도시가 된다.
향후에는 양평의 군부대 이전 사례에서 보듯 양주의 동서를 차단·분리시키고 있는 양주신도시 서편 탄약부대 등 군부대 이전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이는 지자체장과 사업시행자가 긴밀히 군부대와 협의하여 토지보상비로 군부대가 원하는 곳에 국방상 안전하게 이전을 책임지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