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25일은 동두천시장 보궐선거일이다. 이날은 임시공휴일도 아니어서, 기존 재보궐선거의 투표율을 감안할 때 그리 높은 투표율이 기대되지 않는다. 기껏해야 40% 수준 미만이 될 것으로 동두천시선거관리위원회도 예측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투표율 높이기에 안감힘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열린 5.31 지방선거에서 시장선거는 유권자 6만3천655명중 3만3천133명이 투표해 52%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번에 투표율을 대략 35%로 잡는다면 유권자수 대비 고작 2만2천여명이 주권을 행사하는 셈이다. 이렇게 되면 이번 동두천시장은 채 1만명도 안되는 시민들의 지지를 얻어 당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히 무투표 당선과도 유사한, 시민대표성이 떨어지는 경우라 할 수밖에 없다.
그동안 민선으로 선출된 동두천시장 2명 모두 뇌물수수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아 현재 교도소에 수감중이다. 그런만큼 이번에는 시민들이 대대적으로 나서 각 후보자들을 꼼꼼히 검증해야 한다. 향후 동두천의 미래와 비전을 제시하고 책임질 사람을 뽑는 것은 이번에는 의미가 남다르다. 전체 인구의 10분의 1도 안되는 유권자의 지지를 얻어 당선된다면, 대표성 결여 논란은 물론 무책임 행정의 잘못을 되묻기에도 시민 스스로 낯뜨거울 수밖에 없다.
동두천시는 현재 각종 부패혐의로 얼룩져 있다. 영상산업단지, 제2산업단지, 동두천외고, 아파트 인허가,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 위·변조 의혹은 물론 각종 특혜성 사업으로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뇌물수수 혐의로 공무원들이 구속되었거나 앞으로 예고된 사건도 줄줄이 대기중이다.
시민들이 동두천의 미래를 걱정한다면, 4월25일 투표권을 행사해 진정 동두천을 발전시킬 인물에게 대표성을 위임하고 함께 시정을 이끌어야 한다. ‘역겹다’는 이유로 투표에 참여하지 않고 정치를 외면한다면, 동두천은 ‘만년 동두천’에 머물러야 한다. 책임은 시민들에게 달려있다. 후세들에 대한 무한책임을 느낀다면 시민들이 4월25일 투표장에 나서야 한다. 이번에는 시민들이 지혜를 모아 진정한 동두천시장을 뽑는 지방자치의 새로운 역사를 그려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