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맞춤형 주민복지 생활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7월1일 53개 시·군·구를 1단계 대상으로 하여 각종 주민생활지원업무를 통합한 전담부서를 발족시켰다. 2007년 7월1일까지 234개 시·군·구로 주민생활지원팀을 확대하여, 읍·면·동사무소를 아예 ‘주민복지·문화센터’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라 정부는 서비스 중복과 누락을 방지하여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민관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민간자원의 효율적 활용으로 참여복지를 실현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현재 의정부시의 국민기초생활수급자는 9천200여명, 양주시는 3천500여명, 동두천시는 3천여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독거노인, 저소득장애인, 의료급여대상자, 소년소녀가장 등 통계에 잡히지 않은 사회적 약자도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시 관계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정부의 주민복지 생활지원서비스 시행에 맞춰 이들이 사회의 관심과 지원을 제대로 받고 있는지 살펴본다.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홀로 살고 있는 김은봉(84) 할머니는 연료비가 많이 드는 겨울보다 여름이 한결 좋다. 시에서 기초생활수급자에게 지급하는 돈은 평균 25만원. 장수수당 등 몇 만원이 더 추가되지만 요즘 같은 물가고에 30여만원으로 한달을 버티기란 쉽지 않다. 황해도에서 태어나 웅진으로 시집간 뒤 아들 셋과 딸 하나를 낳아 키우며 행복한 시절도 잠시, 6·25전쟁의 광풍이 휘몰아치고 아이들과 함께 피난을 떠나며 고향에 남은 남편과 잠깐 헤어진다고 생각한 게 벌써 50년이다.
“그 양반 지금 살아있다고 생각 안해요. 살았으면 90살인데, 벌써 죽었지….”
큰 아들이 세상을 떠난지 8년째, 둘째 아들은 의정부에 살지만 병으로 누워 며느리가 근근이 벌어 생활하고 있다. 셋째 아들은 4살 때 죽었다. 춘천 사는 딸이 있다고 하지만 김 할머니의 방은 썰렁하다. 거기에 지난해 심장수술을 받아서일까. 앉아서 이야기하는 할머니의 숨은 연신 가쁘다.
“지난번에 웬 남자가 찾아와서 시 지원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해주겠다면서 이름이랑 주민등록번호를 물어봐. 2만원도 빌려달라고 하더라. 마침 돈이 없어서 옆집에서 빌려다 주려하니까 연락없이 가버렸어. 그때야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지.”
돕지 못할망정 쪽박 깨지는 말라고 했는데, 하루 하루 힘들게 살아가는 할머니의 그 몇 푼을 노리는 자들도 있다. 할머니에게 2만원은 ‘있는 사람’ 20만원과 같다. 남면사무소 조혜환(29) 복지사는 할머니의 어두운 귀에 대고 연신 강조한다.
“할머니, 할머니에게 뭐 달라는 사람은 다 사기꾼이에요.”
시청과 면사무소, 주변의 도움으로 ‘그럭저럭’ 살아간다는 김은봉 할머니. 그러나 고달픈 현실에 더 이상 기대는 없다.
“아프지 않게 죽는 것이 꿈이야. 그저 잠들어서 깨지 않고 잠든 듯 세상 떠나는 것이 복이지.”
새댁 시절, 웅진반도의 싱싱한 물고기들을 소쿠리에 담아 나르던 짧디 짧은 행복한 시간을 되새기는 할머니의 눈가가 젖어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