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 은현면 주민들이 단단히 화가 났다. “은현면에 혐오시설이 집중적으로 설치되고, 소각장에서는 서울쓰레기까지 태우려 한다”며 벼르고 있다.
‘양주시 가축액비 공공처리시설 반대추진위원회’는 현재 가축분뇨처리장(1일 150톤)이 들어서는 쓰레기소각장 옆 공사현장과 봉암리 일대에 반대현수막을 내걸었다.
‘은현면이 쓰레기장 집합지냐! 가축분뇨처리장 설치 결사반대!’ ‘양주시는 돈분 축산폐수처리장 철회하라! 우리 주민 모두는 결사반대한다!’
양주시는 주민들의 반발로 2011년 7월 종합폐기물처리시설 중 음식물쓰레기처리장을 제외한 가축분뇨처리장만 설치키로 결정, 2012년 7월 공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주민들의 반발은 식지 않고 있다. 양주시가 현재 운영 중인 쓰레기소각장(1일 100톤×2기)의 쓰레기 반입량이 100여톤 밖에 되지 않자, 서울 등 다른 지자체 쓰레기를 더 태우겠다고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상규 봉암리장은 “소각장과 재활용선별장에서 나는 악취도 모자라 서울쓰레기까지 태우겠다는 게 말이 되냐”면서 “청소차에서 떨어지는 쓰레기 덩어리도 양주시는 모른 척 하고 있다. 은현 주민들을 장기판 졸로 알기 때문”이라고 따졌다.
김명선 운암2리 반대추진위원장은 “가축분뇨처리장은 주민공청회나 설명회를 한번도 열지 않았다. 형식적으로라도 해야되는 것 아니냐”며 “우리들을 너무 우습게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은현면에는 모두가 꺼리는 혐오시설인 하수종말처리장과 쓰레기소각장이 있음에도 가축분뇨처리장까지 설치하는 것은 특정지역에 너무 많은 희생을 요구하는 불공평한 행정”이라며 “누대에 걸쳐 살아왔고, 자손대대로 살아가야 하는 은현 주민들의 피해의식을 현삼식 시장은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양주시 관계자들은 “서울쓰레기 등은 조례를 개정해야 반입할 수 있는 것이며, 가축분뇨처리장 공청회는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어서 마을간담회만 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