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중 가을철에 산악사고 가장 많이 발생
가을이 한창이고 가을 산이 절정이다.
이맘때면 몸이 근질근질해진 나는 찬란한 보석 같은 아름다운 산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찌든 일상에서 벗어나 가슴을 확 트이게 만드는 높은 하늘과 울긋불긋 수놓은 한 폭의 그림 같은 가을 산이 등산객들로 하여금 저절로 발걸음을 옮기게 해주지만 그만큼 가을 산은 사고를 많이 부르기도 한다.
익은 술처럼 무르익은 산......, 가을 산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술 한 잔이 생각나게 하는 아름다운 산. 산에 오르다 보면 간혹 술을 드신 분을 보게 되는데 붉으락푸르락 아름다운 경치에 술 한 잔 생각나는 그 마음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음주상태로 산행은 대단히 위험하다.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올해 크고 작은 산악안전사고가 436건이 발생했는데 그중 대부분이 음주상태에서 발생했다고 한다. 가파른 경사 길과 깎아지듯 서 있는 기암절벽은 한발만 헛디뎌도 천길 낭떠러지로 이어져 심심치 않게 사망사고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산악사고가 비단 음주에 의한 것만은 아니다.
소방방재청 통계에 따르면 1년 중 10월에 산악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중에서도 실족에 의한 골절환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러한 실족 사고를 유발하는 주범은 다름 아닌 낙엽과 이끼이다. 낙엽과 이끼가 얹혀있는 바위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잘 미끄러지게 하기 때문에 실족 사고를 방지하려면 산에서는 한 걸음 한 걸음 신중을 기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안전한 산행이 되려면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며칠 전 출동에서는 40대의 한 남성분이 다리에 심한 경련을 호소했다. 이러한 신고는 비단 이 분만이 아니라 꽤 자주 발생하는데 자신의 체력을 잘 모르거나 과신해 무리한 산행을 계획했다가 도중에 탈진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려면 산행에 앞서 스트레칭으로 몸의 근육을 충분히 풀어주고 코스나 난이도 등 충분한 정보를 습득한 뒤 자신의 체력에 맞는 산행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마에 땀이 송골송골 맺히고 숨이 차오를 때쯤, 높고 푸른 가을 하늘과 맞닿은 산 정상에 이르게 된다. 눈앞엔 황금색으로 수놓은 들녘과 끝을 알 수 없는 저 멀리에 가을 산들이 펼쳐져 있다. 보고 있노라면 어느새 일상에 쌓인 스트레스가 확 풀리게 된다. 이러한 쾌감을 느끼기 위해 사람들은 가을 산을 오를 것이다. 가을 산은 우리에게 많은 혜택을 주지만 많은 사고를 야기하기도 한다.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산행에 앞서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를 유념해야 할 것이다.
사고가 발생하기 전 최선은 예방이다.
우리 119는 국민여러분의 가을축제에 안전을 기원하고 지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