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북부청사에서 관장하는 10개 시군은 경기도 총면적의 42%, 전체 인구의 26%를 차지하고 있지만 현재 예산규모는 경기도 전체의 11.6%, GRDP(1인당 지역총생산) 비중은 19%, 고속도로는 14% 수준에 불과하다고 한다.
특히 경제발전, 문화혜택, 교육복지, SOC, 인프라 등 모든 면에서 낙후된 경기북부의 재정자립도는 남부의 75%에 불과하다.
지난 2013년 국감에서 이명수 국회의원은 경기북부의 도시 활성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명수 의원은 “경기북부지역은 고양, 파주, 김포, 동두천, 양주, 포천, 연천 등 7개 시·군 2,412㎢가 군사기지 및 접경지이며 개발제한구역(503㎢), 군사시설보호구역(1,893㎢), 팔당특별대책지역(386㎢) 등 중첩규제와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묶여 각종 개발사업이 지연되고 있다”고 하면서 “부동산 경기 장기침체 속에서 각종 규제지역인 북부지역의 낙후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6.4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남경필 지사는 경기북부 균형개발을 위해 “고양, 남양주, 의정부, 파주, 양주, 구리, 포천, 동두천, 가평, 연천 등 북부지역에 먼저 지원하겠다”라며, 이를 위해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을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의 주요내용은 1)경기북부의 비전·목표·전략 2)도로·철도 등 부족한 인프라 확충계획 3)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지역개발전략 4)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별 특성화 정책수립 5)주민의 삶의 질 제고와 국가적 이익을 위해 희생된 주민들에 대한 보상방안 모색 6)경기북부 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7)재정소요 추정 및 재원조달 방안 8)경기북부 발전을 위한 국가·경기도·기초자치단체의 역할 규정 등이다.
남 지사는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의 핵심 3대전략으로 인프라 확충, 경제활성화, 규제합리화 전략을 세우고 이를 보다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가칭)경기북부 지역발전 지원조례’를 제정하겠다고 밝혔었다.
지난 선거에 당선된 경기도의원들은 7월8일 제9대 경기도의회에 모두 등원하였다. 전국에서 인구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민 1,250만명의 민의를 대변하는 도의원은 총 128명(지역구116명, 비례대표 12명)이다. 그 중 북부지역 출신 도의원은 31명으로 남부지역 85명보다 훨씬 적은 26.71%로 약 1/4 수준에 그치고 있다.(지역구 기준)
따라서 북부권이 남부권 의원 수보다 절대적으로 적은만큼 힘 싸움에서 밀리는 것이 현실이다. 앞으로 4년 임기동안 북부지역 도의원들은 여야를 떠나 60년 넘게 국가안보를 위해 희생하고 각종 규제의 피해를 받아왔던 북부지역 발전을 위해 남 지사가 ‘경기북부 균형개발’을 약속했던 모든 것을 지킬 수 있도록 압박하고 건의하고 협조한다면 그것이 바로 지역민을 위한 길이고 지역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임무라고 생각한다.
이번에 초선으로 당선된 저 또한 열심히 공부하고 연구하면서 지역발전을 위해 저의 모든 역량을 발휘하여 최선을 다하고자 다짐 또 다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