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원대식(양주1) 의원은 11월5일 제304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경기 농정예산 현실과 경기북부 섬유산업 육성방안’에 대해 질의했다.
원대식 의원은 “FTA 체결 등 대외환경 변화와 농가부채 증가 등으로 고사위기에 처해 있는 농업현실을 타파하고자 그간 농정해양위원회 여러 의원이 도정질의와 삭발식 등을 통해 농정예산 증액을 수차례 요구하였음에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남경필 지사를 질타하며 “전국 농정예산 평균 규모로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원 의원은 ‘경기도 농정예산 비율이 매년 감소하여 2012년 4.1%에서 올해 3.2%까지 하락했는데, 이는 전국 평균 11.8%의 1/3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으며, 올해 예산편성 시 한중 FTA 등 보완대책 예산과 수리시설 확충 등 농업재해 예방예산이 1/4도 반영되지 못하여 가뭄피해가 컸다’는 분석자료를 제시했다.
특히 “올해는 극심한 가뭄으로 본예산 4억5천만원에서 추경 등을 통해 187억원을 증액하여 도비 192억원을 가뭄대책예산으로 긴급지원하였음에도 내년 가뭄대책으로 편성된 예산은 고작 18억원뿐”이라며 “경기도가 유비무환의 자세로 농업의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 의원은 이어 경기북부 섬유산업 육성방안 관련 “양주시에 있는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의 1년간 관리·운영비는 약 16억원으로 운영 초인 2014년에는 경기도와 양주시에서 각각 50%를 부담하였으나, 올해는 양주시가 58%를 부담하여 열약한 시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다”며 “빠른 시일 내에 경기도가 운영주체가 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섬유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 설립 시 계획된 ‘기업관’을 조속히 건립해야 하며, 단순 기업관이 아닌 공공형으로 원스톱 라이프가 가능한 ‘R&D 비즈니스센터(복합지식산업센터)’로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