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2년 영국 해군 수송선 ‘버큰헤이드호’가 승무원과 그 가족들을 태우고 남아프리카를 항해하고 있었다. 시간은 새벽 2시. 대부분의 승객들은 깊은 잠에 든 시간. 아프리카 남단 케이프타운으로 부터 65㎞ 가량 떨어진 해상에서 배는 바위에 부딪쳤다. 충격에 승객들은 잠에서 깨어났고 다시 한 번 파도에 밀린 배는 바위와 세게 부딪쳤다.
배는 이 충격에 반토막이 나고 침몰하기 시작했다. 목숨이 경각에 달린 승객들은 선미와 선수 쪽으로 몰렸다. 반토막 난 배는 급격히 침몰해갔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풍랑은 더욱 심해갔다. 죽음에 직면해 있는 승객들은 절망과 공포 속에 어찌할 줄 모르고 우왕좌왕하고 있었다. 이들을 통제할 병사들은 거의 신병들이었고 몇 안되는 장교들도 별로 경험이 없는 젊은 사관들이었다.
함장 시드니 세튼 대령은 병사들을 갑판 위에 집합시켰다. 그리고 3척 밖에 없는 구명정을 바다에 띄우고 어린아이들과 여자들부터 승선시키도록 하였다. 그 배에 타고 있던 승객과 승조원은 모두 630명이었으며 부녀자는 130명이었다. 구명정은 정원이 60명으로 3척 모두 합해 180명 밖에 승선시킬 수 밖에 없었다. 구명정에 옮겨 탄 후 배와 멀어지면서 여자들은 갑판 위에서 질서 있게 꼼짝 않고 서있는 병사들을 바라보며 흐느껴 울었다. 마침내 버큰헤이든호는 큰 파도가 덮치며 완전히 침몰하여 물속으로 사라졌다. 그날 오후 구조선이 그곳에 도착해서 살아있는 사람들을 구출하였지만 이미 436명이 수장된 다음의 일이었다.
이 사건이 널리 알려진 것은 사건 발생 7년 후 새뮤얼 스마일스의 ‘자조론’과 키플링의 시 ‘버큰헤이드 드릴’이 출간되면서부터다. 이 사건 후 영국에는 고귀한 전통이 생겼고 ‘신사의 나라’ 영국이라는 국격이 매우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조난 사고 시 어린이와 여자 등 약자를 먼저 구출하는 고귀한 희생정신이 바로 그것이다.
1912년 4월10일 영국의 초대형 유람선이 첫 항해에 나섰다. 길이 270m, 넓이 28m, 높이 30m로 20층 높이의 ‘타이타닉호’이다. 이 배의 선장 에드워드 스미스는 이렇게 장담했다. “나는 이 배가 침몰될 수 있는 어떤 조건도 상상할 수 없다. 현대 조선기술은 이미 그 수준을 넘어섰다.” 사람들은 하나님도 이 배는 침몰시킬 수 없다고 믿었다. 세계 최대로 거대하고 화려한 유람선 타이타닉호가 건조될 때 제일 신경을 쓴 것은 안전이었고 가장 크게 홍보하고 강조한 것도 승객의 안전이었다.
출항한지 5일째인 4월15일 밤 0시5분. 그렇게 자랑스러운 타이타닉호는 큰 빙산과 충돌하여 침몰하고야 만다. 사태의 심각성을 간파한 선장은 바로 구명정 16척과 접을 수 있는 배 4척을 끌어내리고 승객들에게 옮겨 타라고 명령했다. 이 배는 절대 안전하다고 믿은 승객들은 왜 그런지 의심했고 반신반의하였다. 그래서 첫 구명정에 옮겨 탄 이는 고작 여자 2명과 남자 11 명뿐이었다. 그러나 곧 배가 왼쪽으로 기울기 시작하자 사람들은 구명정을 타려고 필사적으로 매달리기 시작했다.
0시15분. 조난 신호를 급히 내보냈지만 불과 20㎞ 전방에 있던 캘리포니아호는 통신사가 취침 중이어서 불행히도 조난 신호를 받지 못했고, 90㎞ 떨어진 곳에 있던 여객선 카르파티아 호가 SOS를 수신하고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새벽 4시였다. 부랴부랴 771명을 구조했지만 1513명은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이 배의 전속 악대 8명은 배가 폭발하며 장열한 최후를 맞기 10분 전까지 혼란에 빠진 승객을 위해 연주하였고 서로에게 행운을 빈 후 헤어졌으나 그들은 모두 배와 함께 운명을 같이 했다. 영화에서 보면 이들이 마지막까지 연주한 노래는 찬송가로도 널리 알려진 ‘내 주를 가까이’였다. 이 때 승객들은 서로 위로하였고 귓속말로 “버큰헤이드호를 기억하라”며 어린이들과 여자들을 먼저 구명정에 태웠다고 전한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는 ‘헤리 엘킨스 위드너’ 도서관이 있다. 헤리 엘킨스 위드너는 타이타닉 호에 승선했다가 사고를 당했는데 ‘버큰헤이드호를 기억하라’는 말대로 어머니와 하녀를 먼저 구명정에 태우고 아버지와 자신은 끝내 타이타닉호와 운명을 같이 했다. 후에 어머니가 아들 모교인 하버드에 재산을 기부해서 세운 도서관이라고 한다.
버큰헤이드호나 타이타닉호 사건과 세월호를 비교하여 볼 때 선장이나 승무원들의 마음가짐과 인격이 얼마나 큰 차이가 있었나 엿보게 된다. 세월호 사건은 그 후 대통령 탄핵이라는 예측못할 사건의 간접적 원인 중 하나로 발전하게 되었다. 사실 국가의 높은 품격이나 아름다운 전통은 하루 아침에 되는 것은 아니다. 오랫동안 쌓여진 전통과 관습과 경험 그리고 교육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 것들이 우리 내면에 차곡차곡 쌓여서 발휘되는 것이다. 겉모습보다는 내면에서 우러나와야 진실된 품성이다.
우리가 웃는다는 것은 단순한 겉모습의 변화로만 간주될 것이다. 그러나 웃음의 내면에는 감사와 사랑이 존재해야 진실된 웃음이 나오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웃음의 본질은 감사와 사랑이다. 자신을 사랑하고 이웃을 위해주는 자존감이 본질인 것이다. 이러한 웃음의 본질을 알고 우리 마음속으로부터 진실된 웃음이 나올 때 우리나라 국격도 높아지고 아름다운 전통과 관습과 경험 그리고 교육의 아름다운 이야기들이 많이 탄생할 것이다. 웃음으로 감사와 사랑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성장시켜 나가자. 세상 어느 나라보다 품격 높은 국민성이 이루어지도록.
하하 웃음행복센터 원장, 의정부제일간호학원 원장, 웃음치료 전문가(1급), <웃음에 희망을 걸다>, <웃음희망 행복나눔>, <15초 웃음의 기적>, <웃음은 인생을 춤추게 한다>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