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지난 11월13일 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로 양주시와 구리·남양주시가 공동선정되었다.
이번 쾌거는 테크노밸리 유치를 열망하고 함께 노력한 22만 양주시민의 승리다. 그동안 쉬지 않고 준비해온 이성호 시장님과 공무원들, 그리고 막판 힘을 모아주신 안병용 의정부시장님 등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유치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양주 경기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 테크노밸리 유치를 통해 양주에는 일자리 2만3천개, 1조 8천759억원의 직접적 경제효과가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현재 수요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옥정지구 등 양주신도시가 자족도시로 거듭나고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공동선정에 대해 서운함을 넘어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안타깝고 유감이다. 테크노밸리 유치는 승자와 패자가 나뉘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양주는 섬유·패션분야, 구리·남양주는 IT분야로 두 지역의 개발 컨셉이 다르고, 지역개발을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낙후된 경기북부의 두 지자체가 경기도의 테크노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상생의 발판이다. 근거 없는 비판은 사업 성공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특히 양주시의 경우 이미 지난해 수년 간의 노력 끝에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였기에 즉시 사업 착수가 가능하다. 양주시에서도 지난 11월15일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가 끝난 1구역 17만5천㎡를 내년 하반기에 바로 착공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제는 공동선정에 대한 시비보다는 성공적 유치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테크노밸리의 성공은 신속한 착공과 기업유치에 달렸다. 특히 양주역세권 개발이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3년6개월이 소요되어 지체된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양주시는 1구역(17만5천㎡)은 산업단지 인허가절차 간소화법을 적용해 내년 하반기 착공하고, 2구역(38만㎡)은 내년 상반기 기본계획과 사업화방안 용역을 시작해 2025년 사업을 완료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국회의원으로서 행정절차 간소화와 기업유치를 위한 과감한 인센티브 지원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접경지역 지원특별법, 주한미군공여구역 주변지역 지원특별법 등에 규정된 농지보전부담금 감면 등 과감한 세제 혜택을 제공해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임을 부각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약 1천400억원에 달하는 도비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경기도지사, 경기도의원과 긴밀히 협의할 것이다.
테크노밸리의 성공은 양주가 경기북부의 섬유 테크노 허브도시로 도약하는 밑거름이 되리라 확신한다. 사업 성공을 위해 22만 양주시민들과 함께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