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주시와 동두천시는 9월19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양주·포천·동두천 글로벌 섬유·가죽·패션산업특구’로 신규 지정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섬유·가죽·패션산업특구는 경기북부에 인접한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3개시가 연합해 신청한 것으로, 청년창업이 활발한 산업 생태계를 갖게 된 이탈리아의 클러스터 모델을 벤치마킹해 수립했다.
3개시는 9월19일 중소기업벤처기업부 주관으로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본관 10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43차 지역특화발전 특구위원회’에 참석해 ‘양주·포천·동두천 글로벌 섬유·가죽·패션산업특구’를 제안했다.
이날 심의에서 발표자로 나선 김대순 양주 부시장은 경기북부에 집적된 섬유·가죽제조 산업을 고부가가치 패션산업으로 중점 육성해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수출 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국가경제 발전 견인 등 특구 지정의 필요성을 적극 설명했다.
또한, 섬유·가죽제조 소공인, 신진 패션디자이너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IT, 자동차, 의료 등 한국이 글로벌 우위에 있는 산업군과의 융·복합 제품 개발 전략 ▲최근 급진전하고 있는 남북관계 개선 기회를 활용한 물류 전략 ▲남북경협을 통한 역외가공 방식 도입 전략 등을 담아 이탈리아를 뛰어넘는 세계적인 패션도시로의 비전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특구 지정에 따라 향후 5년간 양주·포천·동두천 3개시는 물론 경기도와 민간기업에서는 특구 내 산업인프라 확충, 수출시장 활성화, 생산기술 고도화 등에 총 1,057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섬유·가죽·패션산업특구는 ▲무역 기능 담당 벤더와 컨버터 업체 유치를 위한 기업비즈니스센터 건립 ▲신진 패션디자이너 육성 ▲DMZ 생태환경 자원과 연계한 국제적 수준의 패션박람회 개최 ▲스마트 공장 확산과 친환경 염색가공기술 보급 ▲산·학·연이 참여하는 첨단 융·복합 제품 개발 혁신클러스터 사업단 구축·운영 등 대규모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특구 내 기업들은 지역특화발전특구 제도에 따라 출입국관리법, 산업집적 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특례 등 총 7개의 규제 특례를 적용 받아 민간기업의 투자가 적극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3개시 관계자들은 “이번 특구 지정으로 경기북부 섬유·가죽산업이 임가공 하청 생산구조를 탈피해 글로벌 브랜드를 창출하고 패션 완제품을 만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될 계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