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덕 동두천시장이 미군반환공여지 개발 추진 국회 토론회에서 전문기구 설치를 요구하며 “데모할까? 시민 10명 죽어야 하냐?” 등 거친 표현을 구사했다.
9월17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미군반환공여구역 활성화 열쇠는 정부가 쥐고 있습니다’라는 주제로 경기도가 주관한 토론회에는 동두천에서만 최용덕 시장과 공무원, 시민 등 100여명이 대거 참석했다.
최 시장은 축사에서 “동두천시는 미군공여지로 인해 많이 개발되지 못하고 저성장됐지만, 대한민국 5천만 국민은 잘 먹고 잘 살았다”며 “그 이유는 동두천이 안보를 책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 시장은 “동두천에는 미군공여지가 자그마치 (시 면적의) 42%”라며 “경기도지사가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고 했지만 한계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가주도 공여지 개발을 공약했다. 정부가 공여지 관련 전문기구를 만들지 않으면 개발이 어렵다. 과감하게 제안한다. 정부는 전문기구를 만들라”고 촉구했다.
이어 “어느 나라에서도 미군이 환경을 치유한 적이 없다. 공여지 환경치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미국과 미군방위비를 삭감하는 딜을 해야 한다. 공여지는 확실히 반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시장은 패널을 지명한 질문에서는 “방법론에 대해 물어보고 싶다. 새만금관리청 만들듯 공여지 전문기구가 필요하다고 했는데 현실은 안되고 있다”며 “데모를 해야 하는지 시민 10명이 죽어야 해줄지 궁금하다”고 했다.
또 “동두천 42%가 공여지인데 땅세를 못받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에서 1년에 3천200억원 정도 손실을 본다고 한다”며 “경제가 정말 어렵다”고 말했다.
최 시장은 마지막으로 “기구는 정말 필요하다”면서 “국가에서 안하면 데모를 해야 하는지 몇명 죽어야 하는지 방법을 알려 달라”고 재차 물었다.
.jpg)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