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임충빈 양주시장이 추진하는 광역행정타운은 ‘앙꼬 없는 찐빵’이 될 것인가. |
임충빈 양주시장의 주요 공약인 광역행정타운 조성사업이 윤곽을 잡지 못한 채 ‘그림의 떡’ 신세로 전락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지난해 6월8일 경기교육청 제2청이 위치선정심의위원회 표결에서 1표차로 의정부 광역행정타운으로 결정된 뒤, 사기충천했던 양주시 동력이 떨어진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현재 양주시는 단 3명의 직원이 대학유치, 미군공여지 주변지역 발전사업을 포함해 광역행정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양주시는 법원·검찰청 이전에 사활을 걸고 있는 입장이다. 광역행정타운의 상징성과 파급효과 때문이다. 그러나 의정부시나 포천시가 강하게 유치작업을 펼치고 있어서 결과는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
이렇게 되면 경기경찰청 제2청, 한전 경기북부지사 등이 의정부 광역행정타운으로 이전될 예정이어서 ‘앙꼬 없는 찐빵’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지적이다. 기껏해야 농협중앙회 양주시지부 등 시단위 행정기관만 들어서 광역행정타운은 거창한 구호로 그치고 ‘양주행정타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경기교육청 제2청의 경우 양주시는 ▲전철 연접 ▲경기북부의 지리·교통 중심지 ▲저렴한 땅값 ▲경기도 광역도시계획상 생활거점도시 등 최적지임을 강조하며 ‘조용한 승리’를 거둔다는 취지로 승부를 걸었다. 자체 강점만을 과신한 것이다.
그러나 의정부시의 막판 뒤집기에 밀려 1표차로 2순위가 됐다. 정치와 행정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키지 못한 ‘임충빈 체제’의 정치력과 행정력이 ‘2% 부족’했던 셈이다.
양주시는 법원·검찰청 유치사업도 똑같은 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협력시스템은 전혀 구축하지 못한 듯 대외 홍보작업 없이 내부적으로 쉬쉬하며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주시 전략사업팀 관계자는 “현재 시단위 관내기관은 물색 중”이라며 “법원·검찰청은 법원행정처, 대검, 법무부 등에서 결정할 사항이라 우리가 그 쪽에 유치제안을 한 뒤에는 딱히 할 일이 없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그러나 법원·검찰청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만큼은 사실”이라며 “결과를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양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타운은 2003년 10월 마전·남방·유양동 일원 2.811㎢의 개발제한구역 해제 건의를 시작으로 2007년 4월 건교부 광역도시계획 확정에 따라 부지만 확보한 상태다. 양주시는 이곳에 광역행정타운은 물론 역세권 개발, 문화마을, 공동주택 주거지역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