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이 양주시의 ‘양주 대모산성(楊州 大母山城)’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26호로 지정했다고 6월21일 고시했다.
‘양주 대모산성’은 임진강과 한강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에 입지한,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구축된 고대 산성으로 성벽(城壁)과 현문(懸門) 등 모든 시설이 초축(初築) 당시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다. 또 성벽의 잔존상태가 양호하고 성 내부도 잘 보존되어 있어 신라시대 성곽 축성기술을 구체적으로 밝혀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1980년부터 1998년까지 7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산성에서 다양한 토기와 와편(瓦片), 금속류의 유물이 다수 출토되었다. 특히 금속류는 통일신라시대 유적을 통틀어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단연 두드러져 이들을 통해 양주 대모산성의 위상이 매우 높았던 것과 군사적·행정적 뿐만 아니라 물류의 거점역할을 수행했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산성에서 출토된 청동인(靑銅印)을 통해 양주 대모산성이 행정적 거점 치소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전서체로 되어있는 문자 판독결과 ‘□玄村縣之印’임이 확인되어 청동인 사용당시 양주지역 신라 지배체제 하의 행정구역명이 ‘□玄村縣’임을 알 수 있으며, 황룡사지 출토 동인(銅印)과도 서체 일부가 동일함이 확인되었다.
양주시에서는 이러한 소중한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역사문화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2014년 양주 대모산성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토지매입, 발굴조사, 산성정비 등의 유적정비를 연차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